[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기술수출 계약을 다수 체결한 리가켐바이오(141080)가 선전하면서 국내에서도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사가 우후죽순 생겼다. 이데일리는 ADC 업체의 옥석가리기 기준에 대해 알아보면서 대표적인 국내 ADC 개발사들의 현황을 분석해봤다.
|
“ADC 전문 개발사라면 케미스트리팀 갖춰야”
ADC 개발사의 한 임원은 화학팀 보유 여부만으로도 ADC 전문 업체의 옥석을 가릴 수 있다고 봤다. 그는 “ADC는 항체, 페이로드, 링커 조합이 케미스트리 그 자체”라며 “ADC는 할 수 있는 조합을 최대한 많이 실험해봐야 하기 때문에 케미스트리팀이 없이는 돌아갈 수가 없다. ADC 개발업체라면서 케미스트리팀이 내부에 없다는 것은 ADC를 자체 개발하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주장했다.
리가켐바이오, 인투셀, 앱티스 등은 조직 내부에 케미스트리팀을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에임드바이오는 조직 내에 케미스트리팀이라고 명칭을 붙인 팀이 따로 있진 않지만 화학 전문가들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에임드바이오 측은 “프로젝트팀에도 박사들이 있는데 화학 전공한 박사들이 있기 때문에 케미스트리팀이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피노바이오는 일각에서 케미스트리팀이 조직 내에 없다는 뒷말이 돌았지만 실제로는 케미스트리팀과 같은 기능을 하는 유기화학합성실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노바이오 관계자는 “케미스트리팀으로서 유기합성팀을 운영 중이며, 이를 화학 합성·엔지니어링하는 바이오콘쥬게이트(Bioconjugation)팀도 운영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피노바이오의 유기합성팀은 생명화학공학 박사, 의약화학 박사, 약학 박사, 유기화학 석사 등 4명의 화학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고유 링커·페이로드 보유 여부도 중요
바이오업계에선 ADC 업체의 기술력을 평가하려면 고유 링커와 페이로드(암을 죽일 수 있는 세포독성약물)를 보유하고 있는지도 살펴봐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항체의 경우 기존 항체를 구해서 써도 무관하지만 링커와 페이로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링커와 페이로드가 케미스트리라면 항체는 바이올로지(Biology)”라며 “항체는 이미 검증됐거나 특허 만료된 항체도 많기 때문에 ADC 개발사가 굳이 발굴까지 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특히 항체와 페이로드를 연결하는 링커는 ADC 기술의 꽃으로 손꼽힌다. 리가켐바이오와 인투셀은 물론, 앱티스, 피노바이오, 에임드바이오는 모두 고유 링커를 보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링커플랫폼으로 리가켐바이오는‘콘쥬올’(ConjuAll), 인투셀은 ‘오파스’(OHPAS), 앱티스는 ‘앱클릭’(AbClick)을 보유하고 있다. 피노바이오는 ADC 링커-페이로드 플랫폼인 ‘피놋-ADC’(PINOT-ADC)를 갖췄으며, 에임드바이오는 아직 ADC 플랫폼기술이 완전히 성숙한 단계는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고유 페이로드 보유 여부 역시 중요하다. ADC의 경우 링커에 맞게 페이로드를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링커 기술을 자체 개발하다보면 자연스럽게 고유 페이로드도 갖추게 된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앱티스를 제외한 나머지 업체들은 모두 고유 페이로드를 보유하고 있다고 했다. 앱티스는 페이로드는 기존의 약물을 쓰고 있지만 향후 독창적인 페이로드를 확보할 예정이다.
인투셀의 경우 페이로드 관련 플랫폼인 ‘PMT’(Payload Modification Technology)를 구축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피노바이오는 독자 개발한 새로운 캠토테신 유도체를 페이로드(payload)로 사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피노바이오 관계자는 “케미스트리 기반인 약물과 링커에 대해선 자체 특허 등록까지 다 돼있다”고 강조했다. 에임드바이오 측은 “자체 개발하고 있는 페이로드도 있고 기존 페이로드를 저희 약물과 접합해서 개발하는 것도 있다”며 “안전성에 중점을 두고 개발 중”이라고 알렸다.
기술이전 이력에 있어서는 리가켐바이오, 피노바이오가 앞서있는 편이다. 리가켐바이오는 기술이전 계약 건수만 총 14건, 누적 계약 규모는 9조6000억원에 달하는 기술수출의 명가다. 글로벌 제약사 얀센, 암젠, 다케다 등과 빅딜을 체결하며 글로벌 기술력을 입증했다. 피노바이오는 2건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으며, 누적 계약 규모가 약 2조원 수준이다. 피노바이오는 2022년 10월 셀트리온과 총 15개 타깃 대상 12억4000만달러(약 1조6000억원) 규모의 ADC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을 맺고 지난해 12월 미국 컨쥬게이트바이오(ConjugateBio)와 총 10개 약물 타깃 대상 2억5000만달러(약 3200억원) 규모 ADC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앱티스, 인투셀 등은 연내 기술이전 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투셀은 2022년 12월 스위스 ADC 개발사 ADC테라퓨틱스와 링커플랫폼 물질이전계약(MTA)을 맺고 지난해 12월에는 삼성바이오에피스와 ADC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 앱티스는 2022년 자사의 링커 기술을 론자의 ADC CDMO 사업에 활용하도록 하는 내용의 독점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연내에는 링커 플랫폼의 기술이전을 기대하고 있다.
에임드바이오는 지난해 6월 중국 ADC 전문기업 진퀀텀헬스케어(GeneQuantum Healthcare)와 최대 5종의 ADC 파이프라인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이 중 교모세포종·방광염 ADC ‘AMB302’는 전임상 단계에 들어섰다. 혈액암·고형암 ADC ‘AMB015’도 파트너사(미공개)와 협업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무늬만 ADC 업체인 곳들도 있다”면서 “실상은 항체도 외부에서 받아오고 합성도 외부에서 진행하는 등 관리(manage)만 하는 회사들이 많다”고 언급했다. 이어 “자체적으로 링커, 페이로드 중 하나의 기술이라도 갖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면서 “아예 새로 만든 기술인지, 기존 기술을 진보시킨 정도인지, 새로운 기술이더라도 독창성이 있으면서 시장성도 있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