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겨레 기자] 4·7 재보궐선거에서 참패한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선수 별로 쇄신 요구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일부 의원들은 ‘친문 책임론’은 분열과 갈등을 조장하는 것이라며 맞서고 있다. 당장 친문 당권주자의 요구에 따라 최고위원 선출 방식을 바꾸면서 인적 쇄신은 요원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4.7 재보선 참패후 더불어민주당의 쇄신진로를 위한 재선의원간담회에서 김한정(왼쪽부터), 김두관 의원 등이 좌장 역할을 맡은 김철민 의원의 발언을 듣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
더불어민주당 초선·재선 의원들은 12일 각각 여의도 모처에서 모여 당 쇄신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 9일 초선 의원들이 “어느새 민주당은 ‘기득권 정당’이 돼 있었다”며 반성문을 내자 이에 힘을 싣기 위해서다.
민주당 재선의원 30여명은 이날 초선 의원들의 자성 내용에 동의하고, 그동안 민주당이 반대 목소리에 귀를 닫았다는 점에서 공감대를 이뤘다고 한다. 이들은 ‘재선 의원 일동’ 명의로 입장문을 내고 “정치개혁 과정 속에서 민생에 소홀했으며, 과오를 인정하는 것에 정정당당하지 못했다”며 “20대 청년들과 제대로 소통하지 못한 점, 성 인지 감수성이 부족했던 점 등 국민과의 공감이 부족했던 당의 모습에 깊은 반성과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재선 의원 모임 사이에선 내년 대선 전에 조국 법무부 장관 사태를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는 의견도 나왔다고 한다. 또 당권주자인 홍영표·우원식 의원과 박주민·이재정·김용민 등 강경파 의원들이 전당대회를 통해 최고위원을 뽑자고 주장해 결국 비상대책위원회가 결정을 뒤집은 데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당권 주자인 홍영표·우원식 의원이 이를 강하게 주장했는데, 상대적으로 친문 강성 당원들의 지지를 얻고 있는 이들이 지도부를 친문 당원의 힘으로 구성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비주류 소신파인 조응천 의원은 “대단히 좋지 못한 시그널이다. (전당대회 선출을) 주장하시는 분들이 전당대회를 하면 메리트가 있는 분들”이라며 “비대위 결정 전에 하자고 하면 그럴 수 있지만 결정이 됐는데 엎어버렸다. 오만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민주당에선 친문 강경파의 책임을 묻는 행동 자체가 당을 분열로 이끄는 것이라는 주장도 꾸준히 나온다. 초선인 장철민 의원은 “그런 식의 갈등 조장으로 가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일”이라며 “특정인과 어떤 그룹의 책임으로 몰아가면서 갈등을 조장하는 것은 정말로 도움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재선 모임 자체가 내부 분열의 자리로 비춰질 것을 우려한 의원도 있었다고 한다.
지난 9일 한차례 모여 토론한 초선 의원들은 이날 쇄신안을 구성하고 지도부에 전달할 운영위원회를 출범했다. 이들은 원내대표 후보를 초청해 재보선 실패와 대책을 논하기로 했다. 또 초선 의원이 최고위원에 출마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13일엔 3선 중진 의원들이 모여 쇄신 방안을 두고 머리를 맞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