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토론회는 윤상현 외통위원장(무소속)과 외통위원, 김용현 전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유동열 자유민주연구원장, 이용준 전 외교부 차관보 등이 현 북한 상황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유고 시 대응방안에 대해 토론했다.
“평양에 전단지 뿌려도 전혀 반응 없어”
윤 위원장은 모두 발언에서 “북한은 한 마디로 검은 상자를 보는 것 같이 참으로 힘든 게 사실이다”며 “대부분 추측으로 추정하고 진위파악이 어려운 게 사실이다”고 토로했다. 그는 “통일부는 ‘특이동향이 없다’고 말한다. 그런데 제가 보기에는 김 위원장 동정은 ‘통상적이고 의전적인 지시’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인사 지시’가 없다는 데에 주목했다. 윤 위원장은 “김 위원장이 직접 사인한다거나, 정책결정하는 사인하는 인사에 관한 지시사항이 없다는 사실에 주목한다”면서 “노동신문을 계속해서 보면 김 위원장의 의전적 지시만 있지 예를 들어 최룡해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김여정 북한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과 같은 주요인사 동향도 활동상황도 보도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 유고 시 대응방안을 주로 언급했다. 유동열 자유민주연구원장은 우선 일각에서 나오는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이복남동생 김평일 전 체코대사 후계자론은 중국에 달렸다고 봤다. 유 원장은 “김평일은 40년간 해외에 있다 작년 말에 북한으로 돌아왔다”며 “김평일의 북한 내 정치적 영향력은 제로다”고 말했다. 다만 “중국 변수가 있다. 중국에서 ‘김여정 갖고 안된다’며 백두혈통의 남은 인물을 찾으면 김평일밖에 없다”면서 “친중정권을 생각한다면 김평일을 내세워 북한 후계 문제에 개입할 수 있다”고 피력했다.
김여정 집권 가능성에 대해서는 “김 위원장은 10살도 안 된 자식 3명 있다. 이들에게 권력 승계가 안 되고, 김여정도 어리기 때문에 집단지도체제가 나올 가능성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의 고모인 김경희와 김창선 서기실장(비서실장) 아래 잠정적으로 김여정의 집권을 도와주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부자승계만 가능한 북한 현실에서 쉽지 않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도발→대응→中 개입→美 개입 가능성”
그는 “더욱이 북한의 불안정 사태가 가속화되면서 무정부 상태가 되면 중국의 개입 문제가 현실화될 가능성 높다”면서 “중국이 개입하면 미국도 가만 안 있는다. 국제적 문제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용준 전 차관보는 김 위원장 유고 시 북한 위험 요소는 크지 않을 거라고 내다봤다. 이 전 차관보는 1994년 김일성, 2011년 김정일 사망 시 큰 혼란이 없었던 예를 들며 “과거 선례를 볼 때 북한 내 권력승계에 따른 불확살성과 체제 위협은 오히려 안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김 위원장이 죽는다고 해서 북한 체제나 정책이 급격히 변하는 건 아니다. 붕괴하지도 않는다”며 “‘우리 안보가 위태로워질까’ 겁 먹을 필요도 없고 조기통일과 같은 희망을 갖는 것 또한 비현실적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남북평화에 도움되는 최선의 새로운 정책이 들어서도록 미국·중국 등 관련국과 외교·군사적인 긴밀 협조가 최선의 방책이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