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구 청담삼익아파트 재건축 사업은 공사비 협상이 파행을 겪으면서 일반분양이 미뤄지고 공사비가 정산되지 않아 공사중단 사태로 치달을 뻔했지만, 조합이 금융비용 590억원에 동의하면서 합의가 이뤄졌다.
이 밖에도 성동구 행당7구역 재개발 조합과 대우건설은 최근 공사비 306억원을 증액하기로 합의해 현장이 정상화됐고, 서울 동대문구 이문3구역 재개발 조합도 갈등을 빚은 끝에 217억원을 증액하기로 합의했다.
이처럼 공사비 증액 합의가 속속 성사되는 것은 서울 아파트값이 빠르게 오르면서 추가 분담금을 내더라도 충분한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승세를 타고 일반분양가를 올리면 공사비 급등과 사업 지연으로 인해 악화한 수익을 보전할 수 있다. 일례로 공사가 6개월 중단됐다가 최근 재개된 은평구 대조1구역 재건축조합은 일반분양가를 평당 4000만원 이상으로 책정해 공사비 증액에 따른 조합원 부담을 상쇄한다는 구상이다.
분양가를 올려도 미분양 걱정이 적다는 점도 이 같은 구상을 뒷받침한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계약 잔여 세대(미분양) 발생 사유로 무순위 청약을 진행한 수도권 단지들의 평균 경쟁률은 지난 3월 38 대 1에서 지난달 82 대 1로 2배 이상 높아지는 등 미분양 물량을 빠르게 털어내고 있다.
공사비 협상이 장기화할수록 금융비용만 커지고 조합과 시공사 양측이 손해를 입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앞서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현장은 조합과 시공사 간 갈등으로 6개월간 공사가 중단됐다가 재개됐고, 조합원들은 1가구당 1억원 가량의 추가 분담금을 떠안는 사례를 남겼다.
서울 소재 한 재건축 조합 관계자는 “공사 원가가 당장 눈에 띄게 떨어지길 기대하기 어렵고 금리 인하도 불투명한 상황에서 하루라도 빨리 합의를 보는 게 조합원 부담을 최소화하는 길”이라며 “시세차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공사비 증액분에 대한 반감은 비교적 줄어든 게 체감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