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부위원장은 모두 발언을 통해 “최근 글로벌 가상자산시장은 기대감과 불안감이 얽히며 그 어느 때보다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이에 글로벌 주요국은 이용자 보호와 함께 ‘규제의 불확실성 해소’에 중점을 두고 가상자산 규율체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 부위원장이 언급한대로 유럽연합(EU)는 사업자 진입 및 영업 규제, 가상자산 거래 ·공시규제 등을 포괄한 ‘가상자산시장법안(MiCA)’을 작년 말부터 시행했고 홍콩, 싱가폴 등도 ‘가상자산 허브’를 지향하며 불명확한 규제 영역을 순차적으로 정비하고 있다. 미국도 향후 가상자산 규제기관 명확화, 스테이블코인 규제 정립 등에 정책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전망된다. 김 부위원장은 “우리 정부도 글로벌 변화의 큰 흐름을 읽고 현재 규제 체계를 지속 점검·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위원들에게 2단계 입법 논의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하며 “정부도 가상자산위원회 논의 결과를 토대로 혁신과 안정이 균형을 이룬 가상자산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화 검토를 속도감 있게 진행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가상자산위원회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2단계 입법 시 검토가 필요한 주요 과제들을 선정하고, 해당 과제별 고려사항과 입법방향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가상자산 매매·중개, 보관·관리, 자문, 평가 등 다양한 가상자산업 유형을 포괄하는 해외 입법례 등을 점검했다. 가상자산사업자 측면에서는 진입 및 영업행위 규제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어졌고, 이용자 보호와 이해상충 방지 등을 위한 불건전 영업행위 규제 신설, 내부통제기준 마련 의무 부과 등의 필요성도 언급됐다.
2단계 입법의 주요 과제 중 하나인 스테이블코인 규율방안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우선 글로벌 스테이블코인의 동향과 각국의 규제정립 상황을 점검하했다. 위원들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에 대해 준비자산에 대한 엄격한 관리의무를 부과하고,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이용자의 상환청구권을 명시적으로 보장하는 등의 최근 글로벌 주요 규제흐름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봤다.
금융위원회는 향후 관계기관 태스크포스(TF) 및 분과위원회를 구성해 2단계 입법 주요 과제별로 세부 내용 검토에 착수할 예정이다. 실무 검토가 완료된 과제는 순차적으로 가상자산위원회 논의를 거쳐 하반기 중 구체적인 2단계 법안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