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지자체는 별도의 단체장과 지방의회를 구성해 규약으로 정하는 사무 범위 내에서 인사·조직권, 조례·규칙제정권 등의 자치권을 가진다. 기존의 행정협의회나 자치단체조합과 달리 독립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나채목 행안부 자치분권지원과장은 “광역권을 하나로 묶어 정책을 시행할 수 있는 수단이 2개가 있는데, 하나는 대구·경북처럼 시도 통합이고, 이번 충청광역연합처럼 특별지자체가 있다”며 “이는 각 시도에서 기능 및 사무들을 떼어내서 일종의 공동합자회사를 만드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즉, 대구·경북 통합은 인수합병(M&A) 개념이고, 특별지자체는 조인트벤처라는 얘기다.
충청광역연합은 충청권 4개 시도가 수도권에 버금가는 단일 경제·생활권을 형성하기 위해 논의를 시작한 뒤 첫 번째 특별지자체로 출범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충청광역연합의 조직은 사무처 41명과 의회 사무처 19명 등 2개 사무처 60명으로 구성된다. 연합을 구성한 지자체 4곳의 공무원들이 사무처로 파견돼 근무한다.
충청광역연합은 지역 내 총생산 290조원 규모의 충청권을 광역 생활경제권으로 묶어 시도 경계를 넘어서는 초광역 교통망을 조성하고, 각각의 산업기반을 공동 활용해 권역 전체의 산업역량을 확보하는 등 권역 차원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행안부는 기대했다.
행안부 앞으로도 충청광역연합처럼 특별지자체 출범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시군구간 논의가 진행중인 곳은 있다. 대표적인 곳이 새만금 권역이다. 이 지역은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와 김제시, 부안군이 한 광역권으로 묶여 있다.
나 과장은 “새만금을 관리하는 특별지자체를 만들어보자는 공감대는 형성돼 기획을 하고 있으나 아직 구체화되고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며 “특별지자체는 하나의 틀이고 거기에 어떤 기능을 넣어서 운영할지 등은 해당 지자체에서 만들 수 있게 열려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역소멸을 막기 위한 시도 간 또는 시군구 간 통합, 특별지자체 출범 논의는 지속될 것이란 관측이다. 이 분위기에 편승해 잠시 주춤한 대구·경북 통합 등 행정 체제 개편 논의도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나 과장은 “특별지자체 출범이 행정통합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것은 없지만, 특별지자체가 출범해서 활발하게 활동을 해서 효능감이 느껴지면 어느 정도 영향을 받을 수는 있을 것”이라며 “대전·충남 등 일부 지역에서 지역소멸을 막고 반전하기 위해 변화를 시도하고자 하는 요구들이 있기 때문에 행정통합도 계속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현재 대구·경북 외 행정통합을 논의중인 곳은 대전·충남, 부산·경남이 있다.
한편 충청광역연합 출범식은 18일 오후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