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액낭은 관절 주위의 막으로 근육, 뼈, 피부 사이에 점액을 가진 조그마한 주머니 형태를 하고 있다. 무릎과 고관절, 어깨, 복숭아뼈 등 몸 속의 점액낭은 150여개에 달한다. 뼈가 많이 돌출된 부위에 불거져 나온 혹이 대부분 점액낭염이다.
복숭아뼈, 무릎 주위, 팔꿈치에 있으면 눈에 잘 띄고 어깨와 둔부 주위에 있으면 잘 안보이지만 통증과 불편함을 느낀다. 특히 팔꿈치와 고관절, 어깨, 무릎, 복숭아뼈 같은 부위는 움직임이 많다. 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활동과 테니스, 골프, 스키 등이 점액낭염을 유발한다. 반복된 자극 이외에도 외상과 감염에 의해 점액낭염이 발생할 수 있다.
점액낭염이 생기면 해당 부위에 통증이 먼저 발생하게 된다. 관절에서 튀어나온 부위에 통증이 생긴다. 통증 이외에는 부어오름, 붉어짐, 열감, 운동범위 감소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좌골(엉덩이뼈) 점액낭염이 발생하면 앉았을 때 엉덩이뼈가 닿는 부위에 통증이 있고, 의자에 똑바로 앉기가 어려워진다,
무릎 관절 깊숙한 곳에서 시큰한 통증이 느껴지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통증이 심하다면 관절염을 의심할 수 있다. 반면 무릎이 붓고 열감이 느껴지며 아픈 부위를 누르면 화끈거리는 느낌을 받을 경우, 무릎에 딱딱한 것이 만져지면 무릎 점액낭염일 가능성이 높다. 팔을 어깨 높이 이상으로 올린 상태에서 장시간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어깨에도 점액낭염이 발생할 수 있다.
점액낭염은 발생하기 쉽고 재발 위험도 높다. 점액낭염을 진단하기 위해선 해당 부위를 만지거나 눌렀을 때 통증을 느끼는 압통 소견이 관찰되는지, 해당 관절의 열감과 발적이 보이는지 살펴야 한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증가, 염증 수치 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 정상인 경우가 많으며 자기공명검사(MRI)를 시행하면 점액낭의 염증 소견을 관찰할 수 있다.
박기범 하지센터장은 “점액낭염의 물혹이 커지면 초음파로 확인하기도 하며 가장 정확한 진단은 MRI다. 점액낭염은 만성적인 질환으로 환자 스스로 활동을 줄이고 자극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며 “관절염, 연부조직 손상, 힘줄염 등의 질환과 증상이 겹칠 수 있으므로 다른 유사한 질환들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