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차기 미국 행정부는 해외우려집단(FEOC) 기준을 강화하는 등 중국산 공급망 규제를 대폭 강화할 전망이다. 이에 중국은 핵심광물 수출 통제로 대응할 것이 뻔하다. 이는 중국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우리 배터리 산업에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배터리 공급망 기업에 대한 정부의 파격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이유다.
최근 양극재·음극재·분리막·전해액 등 주요 공급망 기업들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과 중국의 저가 공세 등으로 가동률 저하와 영업이익 적자라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럽의 노스볼트처럼 우리 공급망 기업이 무너진다면 배터리 공급망 안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것이 분명하다. 공급망 기업에 대해 미국, 일본과 같이 한시적으로 생산보조금을 지원하거나 수요기업 구매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앞으로 전기차 가격 경쟁을 위해 배터리 공급가격 인하 압력이 거세질 전망이다.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가격이 같아지는 ‘배터리 프라이스 패러티(Price Parity)’에 도달할 수 있도록 원가 혁신과 기술 혁신을 가속화해야 한다. 건식 공정, 셀투팩(CTP)과 같은 제조공정 혁신, 리튬인산철(LFP), 미드 니켈, 4680 원통형 배터리 등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화, 충전속도 및 화재 안전성 강화에 대한 기술 투자도 더 확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