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정부와 국회에 따르면 올해 기재부에 대한 국감은 종합감사를 포함해 오는 14일과 15일, 그리고 다음달 5일과 6일에 걸쳐 각각 실시된다. 14일은 거시경제를, 15일에는 조세정책을 각각 다룰 예정이다.
경제살리기 실패 책임론 불가피
최 부총리가 박근혜정부 2기 경제팀 수장의 자격으로 국감장에 서는 것은 올해가 두번째다. 그러나 지난해 국감의 경우 취임한 지 3개월여 밖에 되지 않은 시점이어서 각종 논란을 피해갈 수 있었다. 반면 올해는 모든 경제정책의 결과에 대한 책임론이 최 부총리에게 집중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한국 경제 상황이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은 최 부총리 입장에서 가장 곤혹스러운 대목이다. 수출은 8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고, 소비 회복세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를 가까스로 극복한 수준이다. 올해 경제성장률은 정부 전망치인 3.1%에 한참 못 미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전망치에 미치지 못하는 경제성장률은 세수 결손으로 이어지게 된다. 지난해 10조9000억원의 세금이 덜 걷힌 데 이어 올해도 대규모 세수 결손이 예상된다. 야당 기재위원들은 법인세 인상을 적극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 부총리는 그동안 법인세 인상 불가 방침을 거듭 밝혀왔다. 지난 7월 추경 심의 때도 국회에 출석해 “고용이나 투자 위축을 막기 위해서 크게 볼 때는 법인세를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한 바 있다. 이번 국감에서도 그는 이같은 원칙을 거듭 밝히고, 해외 소득 자진신고 제도 등을 통한 지하경제 양성화 노력 등을 소개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3.5%에서 3.3%로 낮췄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세수 결손 방지 대책을 설명하고, 재정건전성이 아직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란 점을 강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계부채 문제도 도마 위에 오를 듯
특히 최 부총리가 지난달 국회 예결위에 출석해 “빚내서 집사라고 했다가 정책을 바꿨다고 비판하는데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서도 의원들의 집중 추궁이 예상된다.
최 부총리는 가계부채의 ‘양’이 늘었지만 ‘질’은 개선됐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고정금리를 변동금리로, 일시상환 방식에서 분할상환 방식으로 구조를 개선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이번 국감에선 이밖에도 △공공기관 임금피크제를 비롯한 노동개혁 추진 방향 △대기업 면세점 독과점 문제 △미국 금리인상과 중국 성장세 둔화 대응 방안 등이 주요 이슈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