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민·관·군 사이버 위협 합동대응팀에 따르면, 이번 사이버 테러로 피해를 입은 곳은 MBC, KBS, YTN 등 방송사와 신한은행, NH농협은행, 제주은행 등 총 6곳이다. 이들 회사의 개인용 컴퓨터(PC)와 서버 총 3만2000여대가 불통이 된 것으로 파악됐다.
합동대응팀의 분석 결과, 중국발 인터넷주소(IP)가 사내 서버에 접속해 악성파일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해킹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이 주로 중국 서버를 경유하는 방식으로 사이버 테러를 자행해온 만큼 이번 사태도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에 강한 의구심을 갖고 모든 가능성에 대해 면밀히 추적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을 경유하는 수법은 북한 외 다른 국가들의 해커들도 즐겨 사용하고 있고, 악성코드 중 일부를 북한 해커들의 고유 패턴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성급하다는 반론도 있다.
박재문 방송통신위원회 네트워크정책국장은 “중국 IP가 발견돼 여러 추정이 나오게 됐지만 현 단계에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해커 실체 규명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추가 사이버 테러가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다. 정부는 국가 공공기관, 교통·전력 등 국가기반시설, 금융사, 병의원 등 주요기관에 백신 업데이트 서버는 인터넷과 분리하고 PC는 부팅시 시간 설정을 재조정토록 권고했다. 또 안랩과 하우리, 잉카인터넷 등 백신 업체와 협조해 전용 백신을 긴급개발해 KISA 보호나라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 배포하고 있다.
청와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가사이버안전전략회의’를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사이버 안전과 관련한 법적, 제도적 정비 사항을 검토하고 있다”며 “국가사이버안전전략회의는 민·관이 함께 구성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