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청와대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지난 10일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은 총재로 검토하고 있는 여성 후보가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 “지금 어떤 분이 좋을까 널리 생각하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특별히 어떤 분이라고 말씀드리기는 좀 어렵다. 찾고 있는 중이니까”라고 답했다.
또 차기 한은의 원화 가치 상승 대응에 대해 “한국은행이 직접적으로 환율과 관련해서 개입할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 수출 경쟁력이라든가 여러 가지를 생각할 적에 간접적으로 어떻게 하면 이런 어려움을 극복해 나갈 건가 하는 것을 노력을 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환변동보험 확대 △설비투자를 통한 미래 대비 △구조조정 및 원가절감을 통한 경영합리화 노력 등을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또 남·북 통일 가능성에 대해 “통일은 한반도의 평화 더 나아가 동북아의 평화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주변 국가 모두에 이익이 되고 세계평화에도 기여하는 만큼 여러 나라와 이 부분에 공감을 이루고 이해를 더 높이려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의 생애 중 통일을 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는 영어로 “Who knows?(아무도 모르죠)”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한·일 관계에 대해선 “일본은 과거에 무라야마 담화 또 고노담화를 통해서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공식적인 입장을 일본 정부가 분명하게 밝혔다. 그래서 한·일 관계가 발전이 되어 올 수 있었는데 일본에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그동안 일본이 공식적으로 견지해 왔던 담화 내용을 계속 번복하고 또 그것을 부정하는 언행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에서 한·일 관계가 과연 발전해 나갈 수 있겠느냐, 그런 것을 먼저 우리가 생각을 해야 된다고 본다. 그래서 이것은 전적으로 일본의 태도에 달려 있는 문제라고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기자가 ‘다보스포럼에서 대통령이 아베 총리와 악수를 하는 것을 기대하는 건 무리인가’라고 묻자 박 대통령은 “악수의 문제가 아니라 만약에 한국과 입장을 바꿔놨을 때 두 나라 관계가 그냥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계속 갈 수 있다고 보시는지요”라고 반문했다.
또 “중국하고는 북핵 문제라든가 또 북한 문제에 대해서 공감대를 이루고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동북아의 평화를 위해서도 계속 협력관계,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오는 15~18일 진행되는 인도 국빈방문에 대해 “인도의 소프트웨어ㆍ우주항공 쪽에 세계적 역량을, 우리는 전통적인 제조업ㆍ건설 인프라 등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고 있어 상호 협력하면 두 나라가 윈윈할 수 있다. 원전이라든가 여러 부분에도 협력을 강화하는 노력을 해보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21일 스위스 다보스포럼 첫날 예정된 기조연설에 대해서는 “어떻게 기업가정신을 고양시킬지, 세계적인 교류와 협력을 통해서 어떻게 창조경제를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구현할 지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