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리가 금품수수 의혹을 받아 물러난 만큼 후임 총리 인선의 제1 기준은 ‘도덕성’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기준에 맞춰보면 청렴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과 ‘딸깍발이’ 판사로 알려진 조무제 전 대법관 등이 유력한 후보군으로 꼽힌다.
‘청문회’ 통과 가능성을 기준으로 삼는다면 선거라는 검증을 수 차례 통과한 정치인들이 거론된다. 세월호 사태 수습 과정에서 활약한 이주영 새누리당 의원과 ‘경제통’으로 꼽히는 이한구 의원이 대표적이다. 박 대통령의 원로자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7인회’ 멤버인 강창희 전 국회의장도 후보군에 포함된다.
국정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행정력’을 보면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이 적합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통합’ 관점에선 김대중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지낸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이 거론되고 있다. 노무현정부에서 총리를 지낸 한덕수 한국무역협회장도 같은 이유로 주목받는다.
최경환 경제부총리나 황우여 사회부총리에게 총리직을 맡기고 부총리 자리에 다른 인물을 발탁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이들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하반기 사퇴가 점쳐지고 있는 만큼 가능성이 크지는 않다.
문제는 하마평에 오르는 인물들이 총리직을 수용할지 여부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지난해 하마평에 올랐을 때도 총리직을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