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지난해 5월 취임 후 첫 방문국으로 미국을 찾으면서 국빈방문이 아닌 공식실무방문 형식을 취했다. 반면 6월에는 두번째 방문국인 중국을 국빈방문했다. 미국을 가장 먼저 방문하는 전통을 따르면서도 중국 방문의 격을 높이는 균형을 잡은 것으로 해석됐다.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고 있는 제3차 핵안보정상회의에서도 비슷한 균형 잡기가 이뤄지고 있다.
박 대통령은 23일 헤이그 도착 첫 일정으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는 이틀 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3자 회담을 앞두고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미국은 한·미·일 3국의 동맹 강화를 통해 동북아시아에서 중국을 견제하려는 입장을 갖고 있다. 이는 한·중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 입장에선 난감한 이벤트일 수밖에 없다. 박 대통령은 한·미·일 정상에 앞서 시 주석과 먼저 회담을 갖는 형식으로 난처한 상황에 대처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오바마 대통령과는 지난해 5월 방미 때 정상회담을 가진 것이 전부다. 25일 한·미·일 회담에서 두 정상은 두번째로 대화 테이블에 앉게 된다.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은 이날 정상회담에서 북핵 불용 및 북한 비핵화에 대한 양국 공동인식을 재확인했다. 특히 시 주석은 북한의 핵 포기를 설득 중이라고 밝히고, 한반도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핵개발과 경제 건설의 병진정책은 불가능하다. 북한에 대해 대화의 문을 열어놓고 있지만 반드시 비핵화에 실질적 진전이 있어야 된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통일준비위원회 발족에 대해 설명하고 “통일된 한반도는 핵없는 한반도로서 평화의 상징이 되고 동북아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함으로써 지역의 모든 사람들이 평화와 번영을 누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자 시 주석은 “박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적극 지지한다”며 “남북한 간 화해와 평화를 이루고, 나아가 한반도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이루기를 확고히 지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은 양국 자유무역협정(FTA)을 조속히 타결하자는 입장도 재확인했다. 시 주석은 조속한 시일 내 방한을 약속하면서 인천 아시안게임과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