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내년 1월부터 이런 내용을 담은 ‘P2P 대출 가이드라인 개정안’을 시행한다고 11일 밝혔다. P2P 대출은 돈이 필요한 사람과 빌려주려는 사람을 온라인에서 직접 연결하는 신종 금융 서비스다. 현재 근거법이 없는 탓에 금융 당국은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P2P 대출 시장을 간접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
이는 최근 카카오페이·토스 등 간편 결제 업체가 자체 플랫폼이나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 등을 통해 P2P 상품을 판매하면서 투자자 고지를 소홀히 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권대영 금융위 금융혁신기획단장은 “직접 이용해 보니 해당 상품이 마치 신용도가 높은 플랫폼 업체의 자체 투자 상품으로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카카오 자회사인 카카오페이는 앞서 지난달 20일부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카카오톡’에서 P2P 대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이 같은 상품은 P2P 대출 업체가 만든 것이지만, 투자자가 대기업인 카카오가 직접 취급하는 안전한 투자 상품으로 오해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개정안은 투자 위험이 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부동산 관련 대출 상품의 ‘묻지마 투자’를 방지하기 위해 상품 내용을 판매 전 2일 이상 사전 공시하고, PF 대출 상품의 공시 항목도 기존 공사 진행 상황·대출금 사용 내역 등에서 대출자·시행자·시공사의 재무 및 실적 정보, 대출금 용도, 관리 체계, 상환 계획 등으로 확대했다.
또 부동산 개발 사업처럼 장기간 대출 원리금 회수가 어려운 투자 상품의 경우 P2P 업체가 단기로 신규 투자자를 유치해 기존 투자자 돈을 갚는 등 자금을 돌려막는 것을 원천 금지했다. 만기 연장 재대출이나 분할 대출 등 고위험 상품을 판매할 때도 반드시 투자 경고 문구를 표시하도록 했다.
아울러 개정안은 P2P 업체가 대출 상품의 원리금 상환금을 반드시 분리 보관하도록 규정했다. 지금은 투자금만 분리 보관 대상이지만 규제를 강화한 것이다.
현재 국회에는 김수민·민병두·박광온·박선숙·이진복 의원이 발의한 P2P 관련 법안 5개가 계류 중이다. 금융위는 이중 P2P 금융을 위한 별도의 법 제정안을 내놓은 김수민·민병두·이진복 의원 법안을 바탕으로 국회의 법제화 논의에 참여할 계획이다. 향후 P2P 금융의 발전을 위해선 영국처럼 별도 법을 마련해 관리하는 것이 낫다는 판단에서다. 새 법 제정안이 내년 초 국회를 통과하면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시행될 전망이다.
권 단장은 “카드사·저축은행 등 기존 금융회사가 P2P 대출에 투자자로 참여하는 것도 허용하는 방향으로 법안에 반영할 예정”이라며 “개인 투자 한도 등의 경우 지금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다가 법제화 이후 업계 성숙도에 따라 확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