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촉매 자가재생(exsolution)’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가 작동하는 환경에서 연료극 물질로 쓰인 페로브스카이트 물질 속 전이금속을 표면으로 올라오게 만드는 것이다. 표면으로 올라온 나노 입자들은 연료와 산소의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 역할을 하면서 탄소가 쌓이는 것도 막아 연료전지 작동의 안정성을 높인다. 특히 코발트(Co)가 연료극 표면에 올라오면 성능과 안정성을 크게 높인다.
이번 연구에서는 코발트(Co)를 표면으로 더 잘 올라오게 만드는 법을 찾았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가 작동할 때 철(Fe)을 넣어 코발트와 자리를 바꾸게 만든 것이다.
권오훈 UNIST 에너지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공동 제1저자)은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속 전이금속마다 표면으로 올라오려는 정도가 달라진다”며 “표면으로 올라오려는 특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이금속인 철(Fe)은 오히려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안으로 들어가려는 특성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주상욱 UNIST 에너지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공동 제1저자)은 “외부에서 넣어주는 철의 양이 증가할수록 코발트가 표면으로 올라오는 양이 늘었다”며 “이 덕분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최대 출력 밀도가 향상됐다”고 전했다.
김건태 교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 다양한 연료를 적용해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려면 연료극의 성능과 안정성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두 가지 모두 만족하는 연료극 물질을 개발한 이번 연구는 연료전지 상용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는 정후영 UNIST 연구지원본부 교수, 한정우 포스텍 교수, 신지영 숙명여대 교수,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시바프라카시 생고단(Sivaprakash Sengodan) 교수도 함께 참여했다. 연구결과는 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2월 11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