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2022년 당류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청소년과 20대 여성 등 일부 집단에서만 WHO 권고기준을 넘기고 있었을뿐, 국민 평균 당류 섭취량은 2018년 36.4g에서 2022년 34.6g으로 소폭 줄었다. 국민들의 음료 섭취량은 5년 전과 비교해 약 30% 증가했는 데도 말이다. 음료의 주재료는 ‘설탕’이다. 음료를 찾는 비율이 크게 늘었는데 어떻게 당 섭취량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을까.
답은 ‘인공감미료’에 있다. 인공감미료는 설탕보다 수백 배 강한 단맛을 내며, 소량으로도 충분한 단맛을 제공해 열량이 거의 없다. 김 위원장은 “팬데믹 이후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설탕 섭취를 줄이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확산됐고, 식품 산업에서 인공감미료를 사용한 다양한 저칼로리 제품을 출시해 소비자들이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로 단맛을 즐기게 된 비율이 늘어났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제로 가공식품 우리 몸에는 어떨까. 김 위원장에 따르면 제로 가공식품은 체중 및 혈당 관리에 일정 부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한다. 김 위원장은 “탄산음료를 제로 탄산음료로 바꾸면 열량 섭취를 줄일 수 있으며, 꾸준히 지속하면 체중을 감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모든 것은 적당해야 한다. 칼로리는 무시 가능할지언정 인공감미료의 단맛은 분명 미각을 자극한다. 김 위원장도 “제로 음료는 결코 물의 대체재가 될 수 없다”고 경고한다. “인공감미료가 장내 미생물에 나쁜 영항을 끼칠 수 있다는 연구도 있는 만큼 당 섭취의 대안으로 인공 감미료는 좋은 선택이지만, ‘제로’라는 상호를 붙인 다양한 제품 중에는 열량이 낮지 않은 제품도 있으므로 선택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