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등장에 따른 비트코인의 운명을 놓고 논쟁이 한창인 가운데 한국은행도 CBDC 파일럿 시스템 구축에 착수한다.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CBDC 연구의 일환이다. 이에 따라 IT서비스 업체부터 블록체인 기술 기업까지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CBDC는 쉽게 말해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전자적 화폐다. 민간이 발행하는 암호화폐와 달리 중앙은행이 가치를 ‘보증’한다.
◇CBDC 파일럿 시스템 사업 조만간 착수…경쟁 구도 관심
31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4월 중 CBDC 파일럿 시스템 구축 사업 공고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IT 서비스 기업 관계자는 “지난주 CBDC 컨설팅 사업이 종료돼 조만간 구축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라며 “빠르면 4월초 제안요청서(RFP)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은은 지난해 7월 1단계 사업인 ‘기반업무 수행’을 완료한 뒤 최근 2단계 사업인 CBDC 업무 프로세스 분석 및 외부 컨설팅 사업을 진행했다. 이 사업에는 EY한영을 주사업자로 삼성SDS, LG CNS, 라인 등이 참여했다.
신한은행은 한은이 CBDC를 발행할 경우에 대비해 CBDC 유통 플랫폼을 시범 구축하기도 했다.
한은 관계자는 “당초 계획대로 연내 파일럿 시스템 구축을 마칠 것”이라며 “구체적인 사업 일정 등 대해선 알려줄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빨라지는 CBDC 도입 움직임…논쟁거리 된 비트코인
전 세계적으로 CBDC 도입 움직임은 빨라지고 있다. 이미 우리나라 뿐 아니라 미국, 중국, 유럽 등도 도입을 검토·연구하고 있다. 실제로 국제결제은행(BIS)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65개국 중앙은행 가운데 86%가 CBDC 도입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있다. 현재 가장 앞선 나라는 중국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업계에서는 CBDC의 등장이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논쟁거리다. 한쪽에서는 CBDC로 인해 비트코인이 설 자리를 잃을 거라고 주장한다. 가치가 안정적이지 않고 결제도 어려운 비트코인은 화폐로서 기능이 떨어진다는 이유다.
암호화폐 비관론자인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앞으로 3년 안에 우리가 보게 될 가장 큰 혁명은 CBDC”라고 했다. 앞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CBDC가 나오면 지급 수단으로서의 암호화폐 수요는 감소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반면 다른 쪽에선 “CBDC와 비트코인의 용도는 다르다”며 맞서고 있다. 최화인 블록체인 에반젤리스트는 “비트코인은 투자적 성격을 지녔으나, CBDC는 가격이 유지되는 직접적인 가치 교환의 수단”이라며 “오히려 CBDC는 다른 CBDC나 빅테크 기업의 스테이블 코인(가격 변동이 거의 없는 암호화폐)과 경쟁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