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16일 “대우조선 사태에 대한 시장의 의혹을 풀기 위해서라도 금융감독원이 회계감리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회계감리는 기업의 재무제표가 올바르게 작성됐는지를 당국이 직접 나서 검증하는 절차다.
지난해 4710억원의 흑자를 기록한 대우조선은 올 2분기 3조2000억원의 손실을 한꺼번에 장부에 반영하면서 시장에선 대우조선이 손실을 숨기려고 분식회계를 저지른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이 관계자는 “대우조선의 대주주인 산은이 대우조선을 상대로 한 실사 내용을 보면 대우조선이 (3조원의) 손실을 반영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대우조선에 대한 산은의 최종 실사 결과가 나오면 더 명확하겠지만 현재로선 감리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회계감리는) 대우조선이 대규모 적자를 실적에 뒤늦게 반영한 이유와 실제 손실을 언제 인식했는지를 파악하는 걸 중심으로 이뤄질 것”이라며 “이런 점이 명확하게 파악돼야 책임자를 가려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이르면 연내 대우조선에 대한 당국의 감리가 시작할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감리에 2년 가까이 걸린 대우건설과 달리 대우조선해양은 시장의 관심이 상당한 만큼 많은 인력을 투입하면 그렇게 시간이 오래 걸리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금융당국은 내달 초 산은의 대우조선해양 관리 실태에 대한 감사원 조사 결과가 나오면 추가 제재 여부도 검토할 예정이다.
대우조선의 실사를 맡은 삼정회계법인에 따르면 대우조선의 올해 세전 순손실 규모는 6조6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산은이 대우조선이 올해 5조3000억원의 손실을 낸 것으로 전망한 것보다 더 높은 수치다.
윤석헌 숭실대 금융학부 교수는 “대우조선 지원이 대마불사 차원이란 비판을 듣지 않으려면 그간의 문제를 감리를 통해 철저히 밝혀내야 한다”며 “그래야 시장에서 이런 사태가 재발하는 걸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