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 서거]YS 마지막 가는 길 배웅한 상도동 주민들

  • 등록 2015-11-26 오후 5:15:50

    수정 2015-11-26 오후 5:15:50

운구행렬을 기다리는 주민들의 모습. [사진=최선 기자]
[이데일리 한정선 최선 기자] 故 김영삼 전 대통령이 서울 상도동 자택으로 마지막 귀가를 한 26일 주민들은 그의 마지막 길을 지켰다. 운구행렬이 지나기까지 2시간 가까이 남은 이날 오후 2시 40분께부터 주민들은 김 전 대통령의 사저 앞 거리에 삼삼오오 모이기 시작했다. 영하로 떨어진 날씨였다. 주민들은 두꺼운 점퍼에 달린 모자를 푹 눌러쓰거나 마스크를 썼다. 주로 60~80대 고령층이 많았다. 30~40대 주부들은 아이들을 이끌고 현장을 지켰다. 이날 모인 인파는 경찰 추산 1500여 명에 달했다.

점퍼 모자를 푹 눌러쓰고 운구행렬을 기다린 김정희(71·여) 씨는 김 전 대통령이 상도동에서 살기 시작한 해인 1969년 상도동에 시집을 왔다고 했다. 그는 “사저 뒤에 조깅을 하던 동산에서 많이 뵀다. 운동하다가 마주치면 악수와 함께 인사를 나눴는데 ‘운동 나오셨나봐요’하고 말씀하던 게 생각난다. 손이 참 따뜻했다”고 말했다.

김모(78) 씨는 상도동에 이사 온 지 1년 밖에 되지 않았다. 동네에서 김 전 대통령을 직접 만나본 적도 없지만 고인의 마지막 길을 지키고 싶다고 했다. 김씨는 “김 전 대통령을 만나 뵌 적은 없다. 하지만 국가를 위해 평생을 헌신한 분의 마지막 가는 길을 모른 척 할 수가 없었다. 가시는 길 지켜보는 게 국민으로서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 전 대통령의 운구차는 오후 4시 10분께 고인이 반평생을 살아온 사저에 도착했다. 영정사진을 든 김 전 대통령의 손자이자 장남 은철씨의 아들 성민 군이 내렸다. 김군이 앞장섰고 그 뒤를 유족 15여명이 따랐다. 유족들은 천천히 안방에서 1분 가량을 머물다가 쇼파가 놓여진 거실로 자리를 옮겼다. 거실에는 2인용 쇼파와 3인용 쇼파가 양 옆에 놓여져 있었고 김 전 대통령이 평소 앉았을 것으로 보이는 1인용 쇼파가 있었다. 고인의 영정은 이 자리에서 잠시 머무르며 상도동에서의 마지막 추억을 남겼다.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의 발인이 거행된 26일 김 전 대통령의 장손 김성민 씨가 영정 사진을 들고 고인이 머물렀던 서울 동작구 상도동 사저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방인권 기자]
쇼파 오른쪽에는 김 전 대통령이 부시 전 대통령 부자와 함께 찍은 사진, 왼쪽에는 1970년대로 추정되는 김 전 대통령의 연설 사진이 나린히 걸려 있었다. 김 전 대통령이 주로 앉던 1인용 쇼파 위에는 ‘송백장청(松栢長靑·소나무와 잣나무는 오래도록 푸르다)’의 문구가 고인의 가는 길을 지켜봤다. 영정은 5분 가량 사저에 머물다가 나와서 김영삼 대통령 도서관으로 향했다.

상도동에서 22년간 거주해 온 조순정(55·여)씨는 “아이들이 김 전 대통령을 종종 봤다고 하는데 편안하고 자상하신 분이라고 기억한다”며 “나라를 위해 애쓰신 분이고 동네주민이기도 하신데 안타깝다”고 전했다“고 말했다.

40여 년을 상도동에서 살았다는 신모(80) 할머니는 “공원 운동을 계기로 김 전 대통령을 알게 돼 당원 활동에도 뛰어들었다. 거제도에서 치른 고인의 부친 장례식도 다녀왔었다”며 “정 많으셨던 분이신데 이렇게 일찍 가실 줄은 몰랐다. 민주화를 위해 독재와 싸우셨던 멋진 대통령이었다”고 말했다. 신 할머니의 눈에는 눈물이 그렁그렁 맺혔다.

운구차는 이 곳에서 500m 가량 떨어진 곳에서 건립 중인 김영삼 대통령 도서관을 서행 통과해 동작동 현충원으로 향했다. 주민들 70여 명도 그 행렬을 따랐다. 김 전 대통령을 생각하며 국화를 샀다던 김모(80) 할머니는 한 손에 국화를 꼭 쥔 채 그 행렬을 뒤따랐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돌 앞둔 쌍둥이 판다
  • 韓 상공에 뜬 '탑건'
  • 낮에 뜬 '서울달'
  • 발목 부상에도 '괜찮아요'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