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한범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다고 한 것은 나쁜 카드가 아니다”라며 “북한군 투입 증거가 없는 상황에 살상무기를 지원하면 러시아의 행동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가 없다”고 평가했다.
이어 “살상용 무기는 마지막 단계라고 볼 수 있다”며 “정부가 말한 단계 중 낮은 단계로 지뢰제거 차량, 무장하지 않은 보병수송용 장갑차 등 방어용 무기 등이 먼저 제공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군사 전문가인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한국 정부가 논의했던 단계적 접근법을 통해 러시아에 경고를 전달해야 한다”며 “러시아가 한국 안보를 위협하는 군사기술을 북한에 이전할 경우 한국도 러시아 안보를 위협하는 군사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겠다고 알리는 방법이 있다”고 조언했다.
|
트럼프 집권 시에 러시아로부터 보복 등을 한국 정부가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무기 지원은 신중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겠다고 말하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 한국의 무기 지원은 앞뒤가 안맞다”며 “다만 러시아가 북한에 S300, S400 등 대공 요격 미사일을 제공한다는 말이 나오는데, 그 이상 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나 핵기술 등이 제공되는 걸 막기 위해선 대량살상무기 카드를 꺼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베넷 연구원은 전선에서 한국이 우크라이나·미국과 협력해 심리전을 통해 북한군의 탈북을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확성기, 전단 등 수단을 활용해 러시아에 배치된 북한군을 대상으로 방송을 하면 탈북자가 발생할 것이고 이들을 심문해 얻은 정보를 북한으로 전파해야 한다”며 “김정은은 북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추가) 파병을 재고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