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으로 서민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대규모 재정 지출이 물가 상승세를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윤석열 정부가 물가 안정을 최우선 대책으로 꺼내든 상황에서 차별화된 물가 대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상공인 최대 1000만원, 저소득층·특고 100만원
정부는 1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추경 규모는 59조4000억원으로 △소상공인 손실보상 26조3000원 △방역 분야 6조1000억원 △민생 안정 3조1000억원 △예비비 보강 1조원 △지방 이전지출 23조원으로 구성된다.
우선 소상공인·소기업과 매출액 10억~30억원의 중기업 370만곳 대상으로 업체별 매출액·피해수준과 업종별 특성을 고려해 손실보전금 600만~1000만원을 지급한다. 지난 1·2차 지급한 방역지원금 400만원을 포함하면 최대 지급액은 1400만원이 된다. 매출 감소율에 따른 분포를 보면 40% 미만 감소로 600만~700만원을 받는 소상공인이 186만개로 가장 많다.
저소득층 227만가구에게는 4인가구 기준 100만원의 생활안정지금을 지급한다. 냉·난방비 부담 완화를 위한 에너지바우처 지급대상·지원단가는 1400억원에서 2300억원으로 늘린다. 방과후강사, 보험설계사, 방문판매원 등 특고·프리랜서 70만명 대상으로 긴급고용안정지원금 100만원을 지원한다. 법인택시 기사, 전세버스와 비공영제 노선버스 기사 등 16만1000명에게는 200만원의 소득안정자금을 지급키로 했다. 저소득 예술인 3만명은 활동지원금 100만원을 받게 된다.
|
대규모 재정 지출로 시중에 돈이 풀리면 물가 상승폭을 높일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물가 안정을 최우선을 내건 정부의 정책 기조와도 상충된다. 이번 추경에서 현금성 지출은 손실보전금 23조원, 취약계층 생활 지원 1조7000억원, 특고 등 고용·소득안정 지원 1조1000억원 등 25조8000억원에 달한다.
김현욱 한국개발연구원(KDI) 정책대학원 교수는 “적자국채를 발행하지 않고 정부가 당초 다른 곳에 쓰려던 돈을 소상공인에 쓰는 만큼 상대적으로 잠겨 있던 돈이 돌도록 자극하는 효과는 적다”면서도 “돈의 유통 속도가 빨라지게 해 물가를 자극할 소지는 분명히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물가 자극이 불가피하지만 소상공인과 취약계층 지원도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물가를 안정시켜야 하는 정책과제와 함께 어려워하는 계층을 챙겨드리고 힘을 보태는 것도 정책과제”라며 “물가 안정을 위해 다양한 세제지원 방안과 정부 비축물량 확대, 유통 구조개선 등 구조적인 문제도 고민 중”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물가 상승세가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 공급 측면의 요인에 주로 기인하는 만큼 다양한 원자재 확보 채널을 마련하는 게 우선이라는 제언도 나왔다. 김 교수는 “비용 측면에서 물가 급등 요인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금리 인상만으로 잡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에너지 자원뿐 아니라 우리가 수입하고 있는 다양한 원자재를 확보하기 위한 채널 형성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