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는 한국의 장기 국가신용등급을 ‘AA’, 단기 국가신용등급은 ‘A-1+’로 유지한다고 26일 밝혔다. S&P는 “한국의 신중한 정책 결정, 견고한 재정 상황, 높은 통화정책 유연성, 탄탄한 순채권국 지위는 국가신용등급을 뒷받침하는 요인”이라며 등급 유지 배경을 설명했다.
또다른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도 지난 21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과 전망을 기존과 같은 ’Aa2, 안정적‘으로 각각 유지한 바 있다.
|
S&P가 지목한 한국 경제의 문제는 눈덩이처럼 불어난 가계부채다. S&P는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가 통화정책 유연성을 제약할 수 있는 요소”라고 봤다. 다만 “당국은 지난 몇 년 동안 변동금리부 만기일시상환 주택담보대출을 고정금리부 분할상환 대출로 전환하도록 유도해 가계부채 관련 위험을 다소 줄였다”고 설명했다.
북한 관련 안보 위험과 우발 채무도 국가 신용등급을 깎아내리는 원인이다. S&P는 “한국은 북한정권이 붕괴할 경우 막대한 통일 비용을 감당해야 할지도 모르는 불확실성을 안고 있다”며 “국가채무가 급증할 수 있고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로 인해 국가신용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어 “현재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험이 한국의 경제기반을 훼손할 정도로 고조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도 “북한과의 긴장 상태가 한국의 경제·재정·대외지표를 크게 약화할 정도로 고조되면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재정도 내후년에는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했다. S&P는 “코로나 이전까지 상당 기간 재정흑자를 기록했던 한국은 올해와 내년 GDP 대비 각각 3.0%와 1.2%에 해당하는 재정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한국의 역대 재정흑자 규모에 비하면 소폭이겠지만 2024년에는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또 “사회보장기금은 향후 3-4년 동안 GDP 대비 평균 2%의 흑자를 기록하며 정부의 예산 적자를 상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정적인 신용등급 유지에는 통화정책도 한몫 했다는 평가다. S&P는 “한국은행은 물가상승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선진국들의 중앙은행에 앞서 지난해 8월부터 기준금리를 인상해왔다”며 “이는 한국은행 통화정책의 독립성에 대한 신뢰기반이 됐으며 시장금리는 기준금리 변동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