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금융권과 해운업계에 따르면 내년까지 한진해운의 부족자금 규모는 약 1조원으로 추산된다. 용선료 30% 조정과 선박금융 상환 유예 등을 전제로 부족자금은 7000억원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지만, 한진해운이 2분기 228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필요한 액수가 다시 늘어났다.
한진그룹의 추가 자구안에는 조양호 회장의 사재출연 등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지만, 전체 지원 규모는 채권단 요구치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20%후반대의 용선료 조정폭으로 협상이 거의 막바지에 다다르고 선박금융 유예 협상도 국내 금융사들과는 합의를 마친 상태로 알려진 터라 그룹의 지원폭에 대한 아쉬움이 더 크게 느껴지는 상황이다.
한진그룹 측은 “그룹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다”며 채권단 측에서 국가 경제나 해운산업의 중요성을 감안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채권단이 이번 자구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한진해운은 법정관리 수순을 밟게 된다. 26일 이번 자구안이 반영된 한진해운 실사 보고서를 토대로 채권단이 수용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 경우 부산항에 기항하는 외국 해운사가 급감해 부산항의 물동량이 반토막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연매출 축소 예상 규모는 7조~8조원 수준이다.
선주협회 관계자는 “한진해운 사태를 지켜보는 화주들도 자기 화물의 안전을 걱정하면서 초긴장 상태에 있다”며 “일시적으로 글로벌 해운운임이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채권단에서는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가더라도 시장 충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직원 수가 1만3000명인데 비해 한진해운은 1400명으로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금융권이 추가로 쌓아야 할 충당금은 28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한진해운은 앞서 지난 4월말 4112억원의 자구계획을 발표했고 4개월간 2628억원을 마련했다. 기존 자구계획으로는 1744억원을 마련하는 데 그쳐 이행률이 50%를 밑돌지만 추가로 아시아 역내 일부 노선 영업권 양도(621억원), 베트남 터미널법인(TICT) 지분 전량 매각(180억원), 도쿄 사옥 매각 등을 통해 884억원을 확보했다.
한진해운은 영업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항로별로 서비스를 강화하고 저비용 고효율 선대로의 변화를 모색해왔으며 임원 급여 반납 등 비용 절감에 총력을 다해왔다.
▶ 관련기사 ◀
☞경제개혁연대 "한진해운 회생 난항, 정부·채권단 책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