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전 대통령이 남긴 유산 가운데 하나가 지방자치제도 전면 실시다. 1987년 직선제 개헌이 절차적 민주주의를 확립하는 기틀을 놨다면, 문민정부 출범 후 1995년 6월 전면 실시된 제5회 지방선거는 풀뿌리 민주주의가 정착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949년 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1952년 처음 실시된 지방선거는 1960년 제3회 지방선거 이후 박정희·전두환 군부정권을 거치며 30년 이상 자취를 감췄다. 이 기간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의 장을 임명하는 ‘관선 지방통치’가 이뤄졌고 지방선거는 정당정치에 휩쓸려 기초단체가 더욱 혼탁진다는 이유 등으로 도입에 어려움을 겪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1987년 6월 항쟁으로 쟁취한 대통령 선거에서 공약으로 지방자치를 제시하고 1991년 지방의회 의원을 뽑는 제4회 지방선거를 실시했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은 1992년 자치단체장을 뽑기로 한 지방선거를 1995년 상반기까지 연기했다. 30년 만에 재도입된 지방자치제도가 다시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한 것이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의 집권여당인 민주자유당은 지방선거 결과 참패했다. 15명의 광역단체장 가운데 민자당은 부산 등 5명을 배출하는 데 그쳤고, 김대중(DJ) 전 대통령이 물밑 지원한 민주당과 김종필(JP) 총재의 자민련은 각각 4명을 당선시켰다.
김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을 접한 전국 자치단체장들은 민주화와 지방자치에 기여한 그의 공적에 감사하며 깊은 애도를 표했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광역 시·도지사와 시장, 군수 등을 직접 주민이 선출하도록 하는 지방자치제를 확대시키는 등 경기도 발전에도 큰 기여를 했다”며 “김 전 대통령의 뜻을 받들어 우리 사회의 개혁과 통일한국을 만드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김영삼 서거]서울광장 추모 행렬 “민주화 대통령 영면하소서”
☞ [김영삼 서거]양승태 대법원장 "김영삼 대통령 그리워"
☞ [김영삼 서거]시민들 "금융실명제 업적" Vs "서민경제 뒷전"
☞ [포토]故 김영삼 전 대통령 빈소찾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 [김영삼 서거]동교동계 조문…박지원 "민주주의 투명화위해 큰 역할한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