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로서는 실무진간 잠정 합의 결과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막판 제동을 걸었다는 관측이 유력하다. 지난달 말 우리 정부의 긍정적인 전망 이후 하루만에 달라진 분위기 역시 이 같은 분석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 미 국무부는 이례적으로 한국 언론에 논평을 보내며, 적극적으로 잠정타결 임박설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문제는 이번 협상의 열쇠를 쥐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결정 시기를 예단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더욱이 지금으로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양보할 가능성도 희박해 보인다. 현재 재선가도를 달리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사태로 최대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방역 실패 만회 카드로 방위비 협상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다만 방위비 협상의 최대 난관으로 지목됐던 주한미군내 한국인 근로자 무급휴직이 지난 1일부터 이미 시행되고 있고, 우리 정부 역시 대책 마련에 나섰다는 점은 새로운 변수다. 물론 협상이 장기화될 경우 안보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있지만 당장 주한미군의 안정적인 운용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는 유리한 상황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미국이 내세운 협상 카드가 오히려 발목을 붙잡게 될 수 있는 셈이다. 현재 9000여명의 근로자 중 절반 가량인 4000여명이 무급휴직 중이다. 지난 6일(현지시간)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부 장관의 전화통화 역시 미측이 제안해서 이뤄졌다는 점도 이 같은 분위기를 반영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