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가 8일 대전발전연구원, 충남연구원과 공동으로 개최한 ‘창립 66주년 기념 지역경제 세미나’에서 문용필 한국은행 과장은 “대전과 충남지역의 한계기업 비중이 타 지역보다 높은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구조조정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문 과장은 이날 ‘구조조정기 대전충남경제의 잠재 리스크(한계기업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최근 구조조정의 근본적인 요인은 글로벌 벨류체인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며, 그 결과 수출 의존도가 높은 지역경제 구조상 구조조정 여파가 다른 지역보다 더 크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한계기업(이자보상비율이 3년 연속 100% 미만인 기업)은 기본적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에 금융 안정성을 훼손하고, 실물경제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친다. 대전과 충남지역 내 한계기업은 16.1%를 점유, 전국 평균(15.5%)을 상회하고 있다”며 “대중국 수출 부진, 미국 금리인상 등 G2 리스크 충격이 지역 한계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매출 감소 및 이자보상비율 하락 등을 통해 한계기업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G2 리스크가 상승하는 상황에서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서둘러야 하며, 뉴노멀 중국경제에 대한 대응역량을 제고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대전경제의 미래’를 주제로 발제자로 나선 강영주 대전발전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기본계획의 변경으로 전반적인 일정이 연기됐으며, 정부의 관심저하 및 홍보부족 등으로 입주희망 기업이 줄어드는 등 성공여부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일례로 과학벨트에 입주를 희망한 기업 85곳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 유수기업이나 연구기관은 14.1%에 그친 반면 종사자수 50인 이하의 중소기업이 80% 이상을 차지하는 등 중견 이상 기업들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 연구위원은 “과학벨트는 당초 기대와 달리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며 “가속기 운영을 연계할 수 있는 관련 인력과 인프라가 전혀 없으며, SBP플라자 역시 지자체 몫으로 남는 등 심각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과학벨트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거점지구와 기능지구의 역할을 명확하게 정립하고, 거점과 기능지구 간, 지역산업과 연구기관 간 연계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면서 “거점 및 기능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 개발 지원, 지방세 감면, 각종 규제완화, 기업지원 인센티브 등 타 지역과 차별성 있는 인센티브를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