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서울 여의도 인근에서 기자들과 만난 김순철 협력재단 사무총장은 “정부 위탁사업을 단순히 수행하는 것 외에도 자체적으로 정책을 제안할 수 있는 역할을 해야한다는 게 취임 후 첫 경영목표로 제시한 부분”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김 총장은 중소기업청(현 중소벤처기업부) 차장 출신으로 관료 퇴직 후 신용보증재단중앙회장을 역임하다 이달 초 4대 협력재단 총장으로 취임했다. 1984년 경제기획원 사무관으로 시작한 오랜 관료 생활을 통해 중소기업 정책 전반을 두루 경험한 것이 큰 강점으로 꼽힌다. 협력재단은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을 촉진해 양극화를 해소하는 동시에 대기업과 농어촌·농어업인의 상생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협력재단은 지난해 10월 성추행 논란으로 전임 총장이 해임되는 등 큰 홍역을 치른 뒤라 김 총장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김 총장은 관료 시절부터 ‘덕(悳)장’으로 알려져 있어 어수선한 협력재단 내부의 분위기도 되살릴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 밖에도 김 총장은 정책 기능 강화와 더불어 △성과공유제 확산 및 협력이익공유제 도입을 위한 노력 강화 △상생결제 확산 위한 이행실태 분석 및 인센티브 확대 △중소기업기술 임치제도 활성화 △상생협력기금·농어촌상생협력기금 확대 및 내실화 △4차산업혁병 및 글로벌화에 부응한 상생협력 적극 추진 △새로운 조직운영체계 구축 등 7개 경영방침을 내세웠다.
특히 성과이익공유제 도입과 관련해서는 “사실 산업계의 우려가 있는 부분도 인지하고 있다”며 “협력재단이 산업계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많은 기업들의 의견을 참고해 제도 보완에 기여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성과공유제는 제조업 중 수위탁기업만 하게 돼 있는데 현실은 플랫폼·IT업종 등에서 성과공유제를 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며 “이런 부분에서 제도 보완이 필요하고, 더불어 민간에서 하고 있는 우수사례를 발굴·확산하는 데도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총장은 또 “지자체에서 중소기업 기술임치와 관련해 지원해주는 정책들이 있는데 더 많은 지자체로 확산되도록 협력재단이 역할을 할 것”이라며 “임치기술을 기반으로 사업에 필요한 보증을 받아주는 등 특히 하이테크 기술임치를 확산토록 기술보증기금과도 협력체계 잘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무엇보다 김 총장은 지난해 불미스런 사건으로 도마 위에 오른 협력재단 조직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최근 직급별로 태스크포스팀(TF)를 구성했다. 이와 함께 조직진단도 진행하는 등 외부 의견도 반영해 조직효율화 방안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그는 “조직 발전 방안과 관련해 직급별 TF 구성이 마무리단계에 있다”며 “TF에서 중점적으로 어떤 논의를 할 것인지, 조기에 진단을 통해 조직을 어떤 식으로 효율적으로 운영할 지 확정해 조직효율화를 정착시키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