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소규모전력중개시장 시범사업’에 KT(030200), 포스코에너지, 한화에너지, 벽산파워, 이든스토리, 탑솔라 등 6곳이 선정돼 내달부터 12월까지 시범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이들 민간기업이 전력중개 사업자로서 태양광 등 소규모 전력 생산자들을 모아 전력거래소와 전력거래를 하도록 허용해주는 것이다. 도매 전력시장에 이른바 ‘부동산 중개업소’를 허용해 번거로운 절차를 대행하도록 하고 시장거래도 활성화하는 취지다.
민간 “당장 돈 못벌어도 진출..미래먹거리 고려”
|
실제로 이들 기업들은 전력 소매시장 개방 시나리오까지 고려해 전략적으로 사업을 구상 중이다. 도매 시장에 국한된 전력중개 사업이라는 워밍업을 거친 뒤 한전이 독점하는 판매시장까지 진출하겠다는 전략이다. 한전은 지난해 전기판매로만 53조9636억원의 수입을 올렸다. “전력시장이 미래 먹거리”라고 민간기업 쪽에서 말하는 이유다.
앞서 지난 6월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공공기관 기능조정’ 관련 회의에서는 “전력소매 부문(한전 독점)의 규제완화 및 단계적 민간개방을 통한 경쟁체제 도입” 방침이 정해졌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지난 7월 “에너지신산업자의 판매시장 참여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것”이라며 “2017년 상반기까지 확대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
현재 업계에서는 연말 국회를 주시하고 있다. 전력중개 사업자 및 기업형 프로슈머(한전을 거치지 않고 태양광 전력 판매)를 허용하는 전기사업법 개정안(정부 입법)이 계류돼 있기 때문이다. 이 법안의 처리 시점에 따라 전력시장 개방의 신호탄이 터질지, 찻잔 속 태풍에 그칠지 판가름이 날 전망이다. 야당은 전력시장 개방에 대해 “전력·가스 민영화 수순”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이 법안이 처리되면 여파가 크다”며 “한전을 거치지 않고 전력 거래가 되는 만큼 판매시장이 잠식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세계적인 추세를 봐도 전력시장을 개방하는 게 맞는 방향”이라며 “지금은 민간기업에게 제도적으로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국감]주형환 장관 "누진제 폐지 곤란..전력시장 개방 검토"(종합)
☞ [국감]조환익 한전 사장 "누진제 폐지 無..산업용 인상 검토"(종합)
☞ [기자수첩]한전이 '누진제 홍역'에서 벗어나려면
☞ 전력시장 개방 놓고 산업부-한전, 전기요금 전망 '견해차'
☞ [공기업 기능조정]통신처럼 전기요금제 다양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