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플랫폼 기업 측에서는 이같은 움직임이 기업의 경영의지를 꺾는 규제로 작용할 가능성을 우려하며 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줄 것을 강조했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30일 서울중앙우체국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현장간담회를 주재하면서 “디지털 시대의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지키기 위한 디지털 권리장전이 필요하다”며 “폭넓은 의견 수렴과 사회적 합의를 이뤄가는 과정이 중요한 만큼 관련 내용을 충분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9월 뉴욕대 킴멜 센터에서 “디지털기술이 자유, 연대, 인권과 같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가 아니라 힘과 이익의 지배만 받게 된다면 디지털기술은 통제 권력이 돼서 인류의 자유를 훼손할 것”이라며 “디지털기술이 자유를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자율적이고 합리적인 규범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모두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디지털 권리장전은 이른바 ‘뉴욕구상’에 대한 후속조치로서 과기정통부는 내년 9월 성안을 목표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실무 태스크포스(TF)에서 만들고 있는 초안의 방향성을 공개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으는 과정에서 이뤄졌다.
TF에 참여하고 있는 김명주 서울여대 교수는 이날 발제를 통해 “메타버스 윤리·AI윤리·인터넷윤리·국내 법 규정 등을 포괄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인권이라는 최고 가치 위해 자유·공정·연대라는 가치 등을 담고 있는지, 또 관련 해외 유사사례와 비교하면서 초안을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디지털권리 현장 역시 EU의 디지털기본권헌장을 상당 부분 반영할 것으로 보인다. 김 교수는 이외 플랫폼 노동자 문제 등도 현재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토론자들은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이를 대비하기 위한 규범들이 제정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도 ‘디지털 권리장전’ 마련을 미뤄서는 안 된다”는데 대체적으로 공감했다. 다만 디지털 권리장전이 실효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이를 이행하기 위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이를 위한 책무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성호 한국인터넷기업협회 회장은 취지에는 공감한다면서도 해당 권리장전이 논의되는 과정에서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것을 우려했다. 그는 “지금 시대에 디지털 권리를 억압하는 군주는 누구인가”라며 “현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디지털 디바이드 격차 해소”라고 말했다. 그는 “스마트폰이 비싸서, 통신료 부담으로 디지털을 활용하지 못한다면 이건 생존이 걸린 문제”라고 꼬집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