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추경호 미래통합당 의원실이 추산한 재정추계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문재인정부 임기 첫해인 2017년 36.0%에서 마지막 해인 2022년 51.7%로 15.7%포인트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물가 수준을 나타내는 올해 GDP 디플레이터를 0%, 올해 성장률을 -1.2%로 가정해 추정한 것이다.
이같은 국가채무 증가 폭은 기획재정부가 e-나라지표에 관련 통계를 공표한 1997년 이후 최대 증가 수준이다. 앞서 IMF 위기 때인 김대중 정부에서는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임기 첫 해인 1998년에 15.3%에서 마지막 해인 2003년에 19.8%로 4.5% 포인트 증가했다.
이후 국가채무 비율은 노무현정부 때는 임기 중에 7%포인트, 이명박정부 때는 5.8%포인트, 박근혜정부 때는 3.4%포인트 증가했다. 문재인정부 임기 때가 김대중정부 임기 때보다 3.5배, 노무현정부 때보다 2.2배, 이명박정부 때보다 2.7배, 박근혜정부 때보다 4.6배 가량 많이 국가채무 비율이 증가한 것이다.
이는 세금 등 나랏곳간에 채워지는 수입보다 씀씀이가 크기 때문이다. 김원식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가 이날 추 의원실 주최 세미나에서 발표한 연도별 지출 추이(본예산 기준)에 따르면, 복지 분야 지출이 2017년 87조2000억원에서 올해 120조2000억원으로 3년 새 33조원 증가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같은 기간에 4.7%에서 12.7%로 복지 지출이 급속도로 늘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론 코로나19 재정 지원을 하되 장기적인 재정관리 로드맵을 마련할 때라고 입을 모았다.
옥동석 인천대 무역학과 교수(전 한국조세재정연구원장)는 “2060년까지 10년 단위로 단계별 재정준칙을 정하고 이 준칙을 통해 정권별 재정성과를 종합 평가하도록 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재정 포퓰리즘이 유권자들로부터 불이익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