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우철 교수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코로나 이후 한국경제 이슈와 전망’을 주제로 한 학술대회에서 ‘패러다임 전환기의 재정정책 방향과 과제’를 발표하며 “코로나19 사태의 위기 강도를 봤을때 중장기적 차원의 재정건전성을 일단은 부차적인 문제”라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김 교수는 “현재는 경제 펀더멘털이 훼손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판단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확장적 재정 운용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교수는 전국민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위해 편성한 2차 추경에 대해서는 이같은 점을 고려해도, 전혀 효율성이 없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김 교수는 “소득과 무관하게 전 국민에게 재난지원금을 지급한 나라는 OECD 국가 중에서 한국과 일본 딱 두 나라뿐”이라며 “지급 대상을 소득 하위 50% 미만에서 잘랐어야 그나마 취지를 살릴 수 있었을 텐데 기재부의 입장이 몇 번에 걸쳐 후퇴했다. 앞으로 정말 주의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특히 예산 편성을 전담 부처에 위임하던 구조에서 국정책임자가 직접 나서는 재정 거버넌스의 변화가 일어나는 상황의 문제가 2차 추경에 고스란히 반영됐다고 봤다.
김 교수는 “국정책임자가 지출증가율을 직접 조정하며 ‘대통령 예산’으로 불릴 수 있는 상황으로 가는게 책임성 구현이라는 측면에서는 바람직한 면도 있다”라면서도 “국회는 예산을 심의해야 하는 곳인데 추경 논의를 위한 당정청 회의 등 편성 단계에서부터 개입하면 예산 분권주의를 허무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날 정부가 발표한 3차 추경 가운데 5조1000억원 규모를 ‘한국판 뉴딜’에 투입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디지털 뉴딜보다는 그린 뉴딜에 집중하는 것이 그나마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디지털은 완전히 민간의 영역이고 단기간 위기 극복용으로는 크게 효과가 없기 때문에 추경을 통해서 하기 보다는 충분한 논의를 거쳐 내년 예산에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