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3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기본소득을 도입하려면) 많은 논의가 있어야 한다. 논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은 바로 당장 하자는 주장은 아닌 것”이라고 밝혔다.
기본소득에 대해 이 관계자는 “기본소득의 사례가 많지는 않다. 핀란드에서 실업 상황에 있는 20대 청년들 2000명에 2년 정도 지급한 경험이 있고, 논의는 오래 있었다”면서 “기본소득이라는 것이 기존의 복지제도로 설계된 모든 것들을 대체하면서 전국민에 주기적으로 주는 그런 개념으로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본소득 도입을) 어떤 방식으로 해야 하고, 재원은 어떻게 조달해야 하고, 다른 나라가 했던 부분에 대한 스터디도 있어야 한다”며 “그 부분은 상당한 기간과 수준을 정해서 토론을 먼저 하고 후에 저희들이 본격적인 고민을 해도 되지 않겠나”고 반문했다.
다음은 이 관계자와의 일문일답.
-한국은행에서 올해 국민총소득이 1인당 3만 달러 밑으로 갈 가능성을 언급했는데.
달러표시 국민소득은 환율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그에 대한 설명 부분은 섣부른 것 같다. 환율도 상당폭 상승(원화 가치 하락)해야 하고, 물가도 낮아야 하고 마이너스 성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감사원에서 재정준칙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21대 국회에서 정부가 그와 관련해 준비하고 있나.
△재정준칙 문제는 2016년 재정건전화특별법을 냈고, 논의하다가 이뤄지지 못한 사안이다. 재정준칙은 필요하다면 검토할 수 있다. 현재로서는 구체적으로 입법화 한다든지 계획은 마련돼 있지 않다.
-그린뉴딜과 과거 정부에 녹색성장 차이가 뭔가.
-문 대통령이 시스템 반도체와 바이오, 미래차 등 세 가지 분야를 중점적으로 육성하겠다고 재차 이야기했다. 어떻게 육성할지 궁금하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 현대자동차 등 특정 기업만 지원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있는데.
△데이터와 네트워크, 인공지능(AI)에 더해 신산업 분야로 세 가지를 작년부터 선정해서 추진하고 있었다. 우리가 가진 역량 중에 잘하는 역량이 그것과 맞기 때문이다. 시대 변화랑도 맞다. 미래의 기술기반 산업의 경우 아무리 큰 기업도 혼자 못한다. 삼성전자 등 큰 기업 같지만 글로벌 관점에서는 그렇게 크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파트너들과 같이 하는 게 중요하고 중소기업과 생태계를 잘 짜는 것이 중요하다.
-그린뉴딜에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 이유와 방향성에 대해 설명해달라.
△그린뉴딜 프로젝트 성격상, 데이터 작업을 한다든지 초기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 조금 더 장기적인 전환이 필요한 인프라 깔기 측면이 강하다. 앞으로 ‘친환경’ 벗어나서 기업 경영을 하기 어렵다. 가령 환경 침해가 없는 차를 만들지 못 하면 그 회사는 자동차 산업에서 생존할 수 없다. 그린뉴딜이라는 것이 우리 산업 기업이 가야 할 방향성 가지고 적극 임하는 것이 생존에 도움이 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