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회에 따르면 지역 대표성을 살릴 묘수를 찾기로 한 정치권은 묵묵부답이다. 지난 5일 여야 원내지도부는 농·어촌 지역의 의석수가 줄어드는 것을 최소화한다는 데 합의했다. 이를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논의키로 했지만 어제오늘 공식회의는 없었다. 정개특위 간사인 이학재 의원은 이데일리와 통화에서 “야당에서 대안을 내놓지 않고 있어 특위는 오늘 열리지 않았고 물밑접촉도 없었다”고 말했다.
‘게리맨더링’ 역대 선거구획정 따라가는 20대총선 선거구획정위
정치권이 이른바 가이드라인을 내놓지 못하자 선거구획정위는 겉핥기 논의만 하는 모양새다. △자치구·시·군 일부 분할하는 방안 △농·어촌지역 선거구 통합 최소화 △도시지역 선거구 분구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적정규모의 하한 인구수를 우선 설정하고, 그 2배수 내에서 상한 인구수를 산출해 적용하는 방안 등을 테이블에 올렸다. 농·어촌 지역구 배려를 중점적으로 논의하겠다는 취지에서다.
사실 이러한 논의 안건은 새로운 게 아니다. 역대 선거구 재획정 때마다 적용해왔다. 가장 최근인 19대총선에서는 획정위 안을 국회가 무시했다. 자치구·시·군 분할 금지원칙에 예외지역을 확대하면서다. 당시 획정위는 인구 상한선을 초과한 8곳을 분구하고 하한선에 미달한 5곳을 통합하는 안을 냈다.
인구상·하한선이 생긴 15대총선에서는 하·상한이 7만5000명에서 30만명이 기준이었다. 해당 인구범위 안에 있는 곳은 1개, 30만명에서 60만명 이상인 곳은 2개, 60만명 이상인 곳은 3개 선거구로 나눴다. 이때도 부득이하게 분구가 안 된다는 이유로 부산·인천·전남 등 총 8곳이 예외지역으로 선정됐다. 이 같은 예외지역이 16·17대에는 6곳, 18대엔 7곳이 생겼다.
‘낡은카드’꺼내든 획정위, 재량권 발휘할지 8일 회의 주목
18대 총선 전 획정위 위원이던 한 교수는 이데일리와 통화에서 “예외지역 확대와 인구상·하한선 조정은 따로 놓고 볼 수는 없을 것”이라며 “정수를 정해놓고 획정을 하다 보면 지역을 여기저기 자르는 경우가 생긴다. 우리 때는 우리가 안을 내면 정개특위에서 정치인들이 또 뒤바꿨다”고 말했다.
결국 획정위가 독립성과 재량권을 갖고 제대로된 기준을 마련하지 않으면, 역대 선거구 획정 결과와 별반 차이가 없을 거라는 지적이 나온다. 당장 내일(8일) 획정위 위원회의가 열리지만 비례대표 축소·의원정수 확대 등 여야 이견이 큰 상황에서 이렇다 할 결론을 내놓기는 어려워 보인다.
▶ 관련기사 ◀
☞ 획정위, 지역구수 또 결정 못했다···8일 재논의 예정
☞ 획정위도 '골머리'···농어촌지역구 어찌할꼬
☞ 정치권 거센 반발…첫 독립 취지 무색해진 획정위
☞ 끝내 내년 총선 지역구 수 결정 못한 획정위(상보)
☞ 선거구 획정위, 내년 총선 지역구 수 결론 못냈다
☞ 선거구 획정위 "농어촌 대표성 확보 상당한 어려움 겪어"
☞ 선거구 획정위, 총선 지역구 수 결정 못해
☞ 선거구획정위, 지역선거구 수 결정 난항
☞ 여야 농·어촌의원 “획정위 결과발표 미뤄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