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그는 “주주환원과 성과급 지급이 중요하지 않다는 게 아니다. 적어도 은행을 책임지는 CEO들이라면 소비자보호를 생각해야 한다”며 “예를 들어 은행의 발생한 이익의 3분의 1을 주주 환원, 3분의 1을 성과급으로 나눠준다면 최소한 3분의 1 정도는 금융소비자를 위한 몫으로 고민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게 개인적인 생각”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현재 이자 상승 등 이런 국면이 이어지는 지금이 바로 비상상황”이라며 “이런 시기에는 은행은 공적 기능이 되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는 은행이 정부의 인허가 산업인 만큼, 공적인 기능을 외면해서는 안된다는 일정의 경고로 보인다.
또 “ESG측면에서 소비자 보호라든가 취약층 배려에 대한 이런 것들이 내부 어떤 의사결정 내지는 조직 운영 시스템에 잘 채화돼서 운영될 수 있는지 등을 고민하는 것”이라며 “지금의 논의가 단기적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금융회사 내부의 어떤 의사결정 시스템이라든가, 동기부여 시스템에 대한 지적이 있을 수 있게할 것으로 보인다”이라고 전했다.
가상자산 규제와 관련한 언급도 있었다. 이 원장은 현재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닥사)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자율규제에 대해 “자율규제는 규제가 아니지 않냐”고 반문하면서 “지금 규제의 틀을 어떻게 할지 입법적 고민들을 국회에서 하고 있고, 금융당국을 비롯한 여러 이해관계자가 의견을 내고 있는 상황”이라 “자율규제가 적절한지, 아니면 다른 어떤 강력한 규제가 필요한지는 이 자리에서 말씀드리는 건 조심스럽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