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교수는 “문재인 정부는 중국과 관계를 고려해 인태전략에서 탄소배출, 불법어업, 재생에너지 등의 워킹그룹에 참여하는 범위에서 인태전략에 협력했다”며 “윤석열 정부는 캠프데이비드 원칙에 따라 ‘힘에 의한 또는 강압에 의한 어떠한 일방적 현상 변경시도에 강력히 반대하며 양안문제의 평화적 해결’이 필요하다는 전략적 이해가 명시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중국이 영토 수복의 중심목표로 삼고있는 대만에 대해 무력을 통한 전쟁 등에 나선다면 한국 정부는 ‘한미일’ 협력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과거와 달리 인태지역 해양안보에서 직접적 이해관계자가 됐다는 뜻이다.
이어 “한미일 안보협력은 중국에게 가장 불편한 전략적 불균형”이라며 “한미일 안보협력으로 동맹의 비대칭이 심화되면 고립된 권위주의 체제인 북중러 3국의 협력을 압박해 북중러-한미일의 삼각동맹 구조화를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은 과거 영토를 되찾아 ‘완전체 중국’을 꿈꾸며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에서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 남중국해에서는 영유권을 주장하며 베트남, 필리핀, 대만,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 주변국과 마찰을 빚고 있다.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에서는 일본과 맞서고 있다.
한일협력을 강화해 중국의 일방적 현상변경을 억지해야한다는 제안도 냈다. 지난 1일에도 일본 선박이 센카쿠열도 지역에 들어가자 중국 해안경비대가 경고하며 철수를 촉구하는 등 중일 간에도 해양영토를 놓고 갈등이 첨예한 상황이다.
윤 교수는 “포괄적 세력권을 둘러싼 미중경쟁에서 지정학, 체제적 이해를 공유하는 한일협력은 미중갈등을 중재하고 포괄적 해양안보를 위한 중간국 협력을 주도하는 구심점이 될 것”이라며 “한일이 아세안, 인태지역에 대한 경제적, 정치적 영향력을 고려하면 한일협력은 인태전략의 기러기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