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업계에선 시멘트 운송이 후순위로 밀려 공사에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멘트 운송은 철로가 40% 육송 30%, 해송 30%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철길이 막히면 육상 운송으로 대체할 수는 있지만, 용량에 한계가 있고 비용도 훨씬 많이 들어 완벽한 대체가 될 수 없다는 게 건설업계의 설명이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파업이 사전에 예고됐던 만큼 지역 거점 저장소마다 시멘트를 미리 비축하고 있어 당장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파업이 일주일 이상 장기화하면 공급 문제가 본격화되고, 시멘트사는 쌓아둔 재고를 제때 내보내지 못해 생산량을 감산하는 등 연쇄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파업이 일주일 이상 장기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철도노조와 코레일은 지난 8월부터 4개월 동안 총 17차례(실무교섭 14회, 본교섭 3회) 협상 테이블에 앉았지만, 여전히 이견이 큰 것으로 파악된다.
철도노조는 기본급의 2.5%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코레일은 연초에 기본급 인상과 실적급 등으로 정부의 인상률(총인건비의 2.5%)을 이미 반영해서 지급했다는 입장이다.
또 2급 이상 직원의 2024년, 2025년 임금을 동결하라는 노조 측 요구에 대해 코레일은 “해당 개개인에게 향후 수천만원에 달하는 손해를 입히는 것은 물론, 공사가 정상적인 조직 경영을 할 수 없게 하는 것”이라며 “올해 임금 교섭권을 넘어 내년도 임금까지 미리 결정하라는 것으로 도저히 수용할 수 없다”고 선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