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최근 미국의 대(對)중국 반도체 규제가 더욱 정교해지는 가운데, 중국도 AI 산업 종합 육성책임 ‘AI 플러스(+)’를 통한 첨단생태계 구축을 추진하는 등 미중 갈등이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과 한국·대만 등 동맹국들이 첨단 반도체 생산공정을 장악하고 있음에도, 중국은 반도체 펀드 조성과 3세대 및 AI 반도체 양산을 추진하는 등 국력을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전 세계 반도체 수요의 30% 이상을 차지하며 공급망 영향력이 상당하다. 중국 정부가 첨단산업의 필두인 반도체 산업에 정책역량을 집중함에 따라 대중 규제를 통한 중국의 완전한 고립은 어려울 전망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특히 중국은 1980년대 미·일 반도체 협약에 따른 일본의 양보가 일본 반도체 산업 부진을 야기한 사례를 인식하고 있어 향후 반도체 패권을 둘러싼 미중 양국의 강대강 대결이 한층 더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중국과 협업을 강조했다. 중국이 AI 시대에서도 주요 반도체 수요처 자리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남 교수는 “한국은 반도체 생산에서 핵심기술과 장비의 미국 의존도가 높아 미국과 협력을 해야 한다는 사실을 중국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도록 외교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며 “한국의 반도체 사업을 AI 시대에 적합한 고대역폭메모리(HBM) 등으로 고도화 할 뿐 아니라 AI 기능 구현에 적합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육성에 속도를 내 중국과 협업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백 교수는 “한국은 선도자의 관점이 아니라 추격자의 관점에서 글로벌 기술 전략을 전면 수정할 필요가 있다”며 “우리 이익과 손실을 정확하게 따져서 복합 전략을 짜야할 수밖에 없다. 중국과 협력은 당장 할 수 없겠지만, 대화 채널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백 교수는 미·중 기술 경쟁으로 글로벌 무대에서 중국이 이탈한 빈자리를 공략해야 된다는 의견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