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윤 S&P 한국기업신용평가팀장(이사)은 이날 서울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한진해운 사태를 보면 법정관리를 못가게 했어야하는것 아닌가, 혹은 우리나라 회사니까 무조건 살려야한다는 주장들이 많았는데 왜 살려야하는지, 법정관리를 가지 말았어야할 회사인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이사는 “한진해운 법정관리가 단기적으로 한국의 이익을 훼손할 수 있지만 ‘신용문화’ 측면에서 정부와 채권단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일관성있게 원칙대로 한다면 오히려 시장에는 순기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부실기업이 무조건 정부와 국책은행 지원에만 기댈 수 없다는 인식이 생기면 기업들도 사업 위험요소를 더 꼼꼼히 살피고 시장에도 예측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한 이사는 또 두 해운사 같은 거버넌스 문제를 예방하고 시장에 다양한 모니터링 자료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외부의 지원 가능성을 배제한 독자신용등급이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독자신용등급은 정부나 그룹의 지원가능성을 배제하고 해당 기업의 채무 상환능력만을 평가한 등급이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도입되지 않고 있다.
한 이사는 “일반 신용등급과 독자신용등급을 병행하면 상시와 비상시를 나눠서 볼 수 있다”며 “정부나 그룹이 지원 가능성 끊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올 수 있는지를 따지고 지원가능성을 다층화해서 볼 수 있는 좋은 도구”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S&P “한진해운 법정관리, 韓 수출기업에 큰 영향 없다”
☞ S&P "기업부실·가계부채에도 韓 은행 신용도 이상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