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12일 신년기자회견에서 “수도권 규제는 덩어리 규제로 아주 관심이 많은 규제인데 지난해 조금씩 해서는 안 되니 과감하게 풀자고 해서 규제 단두대에 올라온 과제”라며 “종합적인 국토 정책 차원에서 의견을 수렴해 연내에 해결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경제활성화’ 朴정부 3년 차 수도권 규제 완화 드라이브
박 대통령이 장기과제로 묶어놨던 ‘수도권 규제 완화’ 카드를 꺼낸 것은 경제활성화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수도권 규제를 풀어 경기활성화에 나서겠다는 포석인 셈이다. 실제 정부는 지난 2년간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썼지만 경기회복의 불씨는 살아날 기미가 보이질 않고 있다. 내수가 꽁꽁 얼어붙으면서 기업 투자마저 부진해 자칫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우려가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이 최근 월례 경제정책에서 “올해는 시스템적 규제개혁을 본격 시행하겠다”며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수도권 규제는 올해 계속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정부는 올해 박 대통령 임기 중 국회의원총선거나 지방선거 등 선거가 없는 해라는 점에서 경제살리기를 위한 규제개혁에 나설 적기로 판단하고 있다.
정치권 “성장동력·경쟁력 강화…수도권 규제 재검토할 때”
전문가들은 경제활성화를 위해선 파급 효과가 적은 생색내기식 규제 완화가 아니라 과감한 수도권 규제 혁파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대표적인 수도권 규제 완화론자로 알려진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은 “기업들이 국내 생산 투자를 활성화하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규제개혁 핵심대상은 수도권 규제”라며 “수도권 신공장건설 제한, 과밀부담금 부과 등의 투자억제 법 등이 기업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주된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번번이 좌초된 ‘수도권 규제 완화’ 이번엔…
과거 노무현·이명박 정부에서도 수도권 규제 완화를 외쳤지만, 근본적인 개혁은 번번이 좌초됐다. 수정법과 산업집적활성화법(산집법) 등 핵심 법이 그대로 남았기 때문이다. 지방 민심을 등에 업은 지자체장과 표를 의식한 국회의원들이 ‘균형발전’을 내세워 정부가 시행령만 개정하려 해도 강력 반발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수도권 규제를 풀기 위해선 의견수렴을 통해 지자체 등의 반대를 극복하는 게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지방에서 수도권 규제 완화에 대해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만큼 지방의 맞춤형 발전 전략과 함께 패키지로 수도권 규제 완화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정종환 전 국토해양부 장관은 “수도권에는 무엇인가를 지원해 주는 게 아니라 규제를 풀어주는 방식으로 숨통을 열어주고 지방은 자생력이 없어서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