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을 끝내더라도 북한을 활용한 대외정책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러 관계 복원이 생각보다 쉽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AFP) |
|
현승수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 9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개최한 NK포럼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났다고 러시아가 북한을 포기하고 한국에 더 힘 쏟으리란 생각은 오판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러·북 동맹 함의와 우리의 대응’을 주제로 발표하는 과정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던 2000년에도 북한을 방문했다”며 “지금껏 미국과 서방과 맞대결할 생각이 없기에 도의적 지지를 해 왔으나 처음부터 북한에 관심이 있었던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러가 최근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맺은 건 단기적으로 우크라이나 전쟁과 맞물려 양국 간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가 아니라 오랜 기간 지속해 온 결과이고 앞으로도 이어지리란 설명이다. 그는 “푸틴 대통령이 다극화 세계 질서 속 세력권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추진하고 있고 이 과정에서 북한의 몸값이 올라갔다”고 부연했다.
그는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경제적 이익으로 맺어진 한·러 동맹이 쉽게 복원되기 어려우리라 내다봤다. 현 선임연구위원은 “우리가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에 관심을 보일수록 뒤통수를 맞는 느낌이 될 수 있다”며 “(러시아와 우호관계를 유지해 온) 과거 30년은 잊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두연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도 “북·러 밀착이 예상보다 빠르고 깊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한·러 냉각 국면이 상당 기간 지속할 수밖에 없는 국제 구도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중장기 출구전략을 강구하는 게 최선”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