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전 총장은 최 교수로부터 자유주의, 대통령 권력의 초집중화, 국가주의 확장 등에 대한 고견을 듣기 위해 만남을 가진 것이다. 이날 두 사람의 대화는 2시간 45분 가량 이어졌다.
윤 전 총장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는 우리 헌법의 근간으로, 자유는 정부 권력의 한계를 그어주는 것”이라면서 “자유가 빠진 민주주의는 진짜 민주주의가 아니라 독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현 정부는 자유민주주의에서 ‘자유’를 빼내려 하는데 어떤 민주주의를 바라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권위주의적 구질서와 연결된 자유주의는 민주화 운동세력에 의해서도 배척됐고, 보수에 의해 제대로 수용되지 못하고, 진보에 의해 버림받은 미아 같은 존재로 버려졌다”면서 “지금의 보수는 비어있는 이념적 공간에서 자유주의를 신봉하는 국가와 사회관계의 구조를 대변하는 세력으로 재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유주의를 보수가 잡는 재도약의 기회가 온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대통령 권력의 초집중화와 확장적 국가주의를 경계했다.
두 사람은 아울러 최근 정치권에서 화두로 떠오른 개헌에 대해선 부정적인 견해를 같이했다. 국무총리의 역할이 보장되면 대통령의 권력을 충분히 분산시킬 수 있다고 했다.
최 교수는 “대통령의 권력을 하향 분산시켜야 하는 건 맞지만 지금은 개헌의 타이밍이 아니다”라면서 “지금은 현행 헌법의 틀 속에서 권력 분산 해법을 찾아야 한다. 총리의 위상과 역할만 제대로 구현해도 대통령 권한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윤 전 총장도 “청와대의 우월적 독점으로 인한 국정 난맥상이 심각하다. 비서실장, 수석 비서관, 심지어 행정관들이 내각을 지휘하고 있다”면서 “헌법 틀 안에 있는 총리 역할이 보장되면 내각 결정권이 많아지고 자연스럽게 청와대 권한을 옮길 수 있다는 교수님의 지적에 공감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