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4일 외교부 정례브리핑에서 “우리 외교부는 한중 간 다양한 외교채널들을 통해서 중국 내 유관 각 부문에 대해 우리 측 희망사항을 지속적이고 구체적이며 밀도있게 제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리나라는 요소, 암모니아를 전량 수입하고 있는데 이 중 70%를 중국에서 들여오고 있다. 문제는 중국이 요소수의 원료인 요소의 수출 전 검사를 의무화하면서다. 사실상 심사를 통해 요소 수출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보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외교부는 주중 공관과 주한 중국대사관 등 각급 외교채널 등을 통해 애로상황을 전하고 현지 모니터링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요소를 생산하는 다른 지역을 통한 수급 가능성 등도 파악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이런 외교적 노력에도 이같은 현상이 단기간 해결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중국이 이번에 수출 제한 조치를 한 것은 한중간 정치·외교적 이슈로 인해 발생한 것이 아닌 중국 내 수급 상황에 의한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나라를 통한 요소 수입 역시 여의치 않다. 중국에 이어 우리나라에 두 번째로 요소 수출하는 인도네시아 역시 중국처럼 요소 수출을 금지한 상태이다. 또 천연가스 가격 역시 급격하게 상승하며 유럽산 요소수 가격도 상승 추세를 그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를 통해 수출을 재개한다고 하더라도 그 물량이 들어오는 시점은 내년 초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처럼 꼬리에 꼬리를 무는 공급망 교란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면서 선제적 대응 필요성을 절감한 외교부 역시 뒤늦게 대응에 나섰다. 지난 1일 양자경제외교국 산하에 신설된 경제안보TF는 김진동 양자경제외교국 심의관이 TF장을 맡고 각 과에서 서기관들이 차출돼 4명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지금까지는 주요국과의 양자채널을 통해 현안을 논의했으나 최근 흐름은 공급망 문제와 첨단기술, 수출통제, 투자심사, 인프라투자, 인권·환경·디지털 등 다양한 이슈들이 상호 연결되며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 지역과 기능별로 점검했던 외교 이슈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다른 과들과 유기적 협력할 방법을 고민했다”고 설명했다.
미중 갈등 속 미국은 중국 의존도가 높은 기존 공급망 재편에 나서며 동맹과 우방국들에게 중국 의존도를 줄여나갈 것을 간접적으로 촉구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과 기후 변화 등으로 사회·경제 전반의 재편이 일어나면서 에너지 가격이 뛰는 것 역시 우리나라가 하루빨리 이 이슈에 대응해야 하는 이유 중 하나다.
외교부는 점점 중요해지는 경제안보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TF를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지금은 TF에 머무르지만, 향후 예산과 인력 보강을 통해 국(局) 조직으로 키우고 각종 세미나와 워크숍을 통해 국내외 전문가 풀(pool)도 점차 늘려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