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빠른 통지문·최고지도자 ‘사과’까지 ‘이례적’
북한이 25일 오전 보내온 통일전선부 명의의 통지문은 지난 24일 오후 3시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진상 규명 및 책임자 처벌을 요구한 뒤 하루만에 송달됐다. 불과 채 하루도 되지 않을 만큼 이례적으로 빠른 시간에 회신이 왔다.
|
그러면서도 북한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정면에 내세워 “우리 측 수역에서 뜻밖의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여 문재인 대통령과 남녘 동포들에게 커다란 실망감을 더해 준 데 대해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는 뜻을 전하라고 하시었다”고 사과의 뜻을 분명히 했다.
총살은 인정하면서도 시신 훼손에 대해서는 부인하는 점에서도 북한의 사태 수습 의지가 읽힌다. ‘반인도주의적 처사’라는 비판에 대해서는 분명히 선을 그은 것이다. 북한은 사살 이후 부유물 내에 시신이 없었고 부유물만을 소각 처리했다고 해명했다.
물론 이 부분에 있어서는 우리 군의 발표와는 거리가 있다. 사실 관계를 추가로 확인해야할 필요가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북한 통지문에 대한) 정부 판단을 예단하지 마시고 있는 문자 그대로 판단해달라”라고 전문을 그대로 공개한 이유를 밝혔다. 추가적 조치가 예상되는 지점이다.
사태와 무관한 남북 정상 친서까지 공개..靑, 수습에 총력
이후 문 대통령은 서 실장에게 주고 받은 친서의 내용도 공개할 것을 지시했다. 이번 북한의 우리 국민 사살과는 무관한 내용의 친서이지만 여전히 남북 정상간 신뢰가 작동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북한 역시 통지문에서 “유감스러운 사건으로 인하여 최근에 적게나마 쌓아온 북남 사이의 신뢰와 존중의 관계가 허물어지지 않게 더욱 긴장하고 각성하며, 필요한 안전대책을 강구할 데 대하여 거듭 강조하겠다”고 양측간 신뢰를 언급했다.
남북 정상이 주고받은 친서가 공개된 것은 지난 3월4일 김 위원장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남측을 위로하는 친서를 보내고 이튿날인 3월5일 문 대통령이 답신을 보낸 것이 마지막이다. 이후 약 6개월 간 남북 정상간 직접적 교류는 알려지지 않았다. 청와대로서는 남북 정상간 신뢰를 재확인하는 데 친서를 활용한 셈이다.
문 대통령이 먼저 지난 8일 친서를 보냈는데 코로나19와 집중호우, 수차례의 태풍 등 남북이 함께 겪고 있는 어려움을 언급하면서 안녕을 기원했다. 김 위원장은 나흘 만인 12일 “끔찍한 올해의 이 시간들이 속히 흘러가고 좋은 일들이 차례로 기다릴 그런 날들이 하루빨리 다가오기를 손꼽아 기다리겠다”고 희망적인 답신을 보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