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2일) 북한인권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데 이어 이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고강도 대북제재 결의안을 채택하면서 향후 김정은 정권의 ‘레짐 체인지’(regime change·정권교체)를 위한 전방위적 압박강도를 최고조로 높이겠다는 강경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읽힌다. 따라서 우리 정부는 안보리 결의안 채택 전부터 검토해왔던 대북 독자제재 방안을 본격 추진할 것으로 관측된다.
“가능한 제재 총동원”..나진-하산 프로젝트 중단 가능성
정부 당국자는 3일 대북 독자제재 방안와 관련, “정부 입장을 지금 당장 말씀드릴 시기는 아니다. 여러 방안을 검토중”이라며 “적절한 시기가 되면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검토할 수 있는 양자제재 방안은 △북한 기항 제3국 선박 입항 금지 등 해운 제재 △인도적·사회문화적 차원의 교류와 지원 제한 △나진-하산 프로젝트의 중단 등이다.
이와 관련, 통일부 당국자는 “나진-하산 프로젝트의 경우 이번에 채택된 안보리 대북제재에 위배되지 않는지 등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남북회담에 정통한 한 전문가는 “해운제재의 경우 북한이 과거 회담에서 항구 이용의 불편함을 제기하는 등 수차례 우회적으로 거론했던 점을 참고한 것”이라며 “효과가 크고 작고를 떠나 북한이 아파하고 불편할 수 있는 제재 방안을 총동원하겠다는 정부의 태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봤다.
주변국과 공조 움직임..靑 “결의안 中수용 배경에 사드”
이렇듯 정부의 입장은 그 어느 때보다 강경하다.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이후 기업들의 폐업 절차까지 지원하고 있고 현 정부 들어 강조하던 순수한 사회·문화 차원의 교류도 무기한 보류시켰다.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전날(3일) 통일부 창설 47주년 기념식에서 “지금 우리가 차원이 다른 조치로 북을 변화시키지 못한다면 한반도의 평화를 장담할 수 없다”고 했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초강력 안보리 결의안을 중국이 전격 수용한 배경으로 한·미 간 논의 중인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를 꼽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과거의 예를 볼 때 중국은 한반도에서 미국의 전략적 존재가 강화되는 데 경계감이 많았다”며 “중국이 사드 배치 문제를 계속 얘기하는 것에서 볼 때 결의안 결정을 하는 데 있어 (사드가) 일정 부분 상관관계가 있었다고 얘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사드 배치는) 안보와 국익 관점에서만 다루겠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