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최측근을 사실상 ‘경질’하는 모양새를 취하면서 당·청 간 갈등 국면을 조기 수습, 5월 국회에서는 공무원연금 개혁을 반드시 처리해야 한다는 뜻을 여권에 피력했다는 것이다.
야당이 고집하는 다른 공적연금과의 연계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뜻도 간접적으로 드러냈다. 조 수석이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대독한 사퇴의 변에서 “연금개혁을 수용하는 대가로 이와는 전혀 무관한 국민연금이나 기초연금, 심지어 증세문제까지 거론되고 있는 작금의 상황은 애초 개혁의 취지를 심각하게 몰각한 것”이라고 지적한 건 ‘선(先) 공무원연금개혁, 후(後) 국민연금 논의’란 박 대통령의 원칙을 우회적으로 강조한 것이란 분석이다.
일각에선 박 대통령의 ‘소신’을 읽지 못하고 여야의 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 연계 합의를 미연에 막지 못한 데다 이후 불거진 당·청 갈등도 제대로 봉합하지 못한 것에 대한 책임을 물은 것이란 시각도 있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여야의 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 연계 합의를 뒤늦게 알았다는 청와대의 해명이 궁색했다는 비난이 꽤 일었을 당시 여권 내부에선 ‘정무수석 책임론’이 불거진 것으로 안다”고 했다.
청와대 안팎에선 지난해말 문건 파문과 연말정산 세금폭탄 논란, 성완종 리스트 파문 등으로 당·청 관계를 조율해온 조 수석의 피로감이 상당했다는 말도 흘러나온다. 일각에선 조 수석이 내년 총선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조 수석은 아주 유능하고 (일도) 잘하는 사람이니 또 다른 역할이 주어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