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주력 제조업이 흔들리면 일자리까지 타격 받을 수 있는 만큼 이들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주력산업의 위기와 일자리 리부트(reboot)’에서 “주력 제조업이 다른 산업으로의 고용 파급 효과가 크다”며 이같이 밝혔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제조업에서 일자리 1만개가 줄었을 때 다른 산업의 일자리 1만3700개가 감소한 데 비해, 서비스업에서 동일하게 일자리 1만개가 사라졌을 땐 다른 산업의 일자리 감소분은 700개에 불과했다.
주 실장은 “일자리에 주는 악영향을 최소화하려면 주력 산업의 경쟁력을 활성화해야 한다”며 △연구개발(R&D) 투자의 효율성 제고 △소재·부품 국산화를 통한 경제·산업구조 개선 △저부가 중간재 수출에서 고부가 최종재 수출로의 전환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주력 산업의 생존·성장 없인 신산업이 등장할 수 없다”며 “노동시장 경직성과 규제를 적극 완화해 기업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시균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당분간 조선·자동차 등의 구조조정과 제조업 경기 둔화로 고용 사정이 나빠지겠지만 2020년 후반 이후 노동력이 부족해 공급 제약 현상이 본격화할 수 있다”며 “질적 투입을 중심으로 성장구조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하몽열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실장은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ICT산업에서 인력 규모가 지난해 전년비 1.3% 늘었지만 중국이 대규모로 투자하면서 중국과의 격차가 좁아진다”며 “ICT산업에서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창출되려면 R&D 투자확대는 물론, 우리가 취약한 플랫폼·소프트웨어(SW) 분야 전문인력을 키워야 한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