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비서실장·정조 및 경제수석 교체 등 1차 참모진 개편 이후 추가 개편을 저울질해왔다. 4·13 총선책임론을 피해 가면서도 민심을 수용하는 모양새를 취할 수 있고, 나아가 임기 말까지 국정운영 동력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타이밍’을 고려해왔다고 한다. 현기환 정무수석이 총선 패배 후 전격적으로 사의를 표명한 것도 이 같은 박 대통령의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서였다.
무엇보다 김 신임 수석의 등장은 4대 구조개혁 등 핵심 국정과제를 보다 탄력적으로 밀어붙이려는 박 대통령의 속내가 담겼다는 분석이다. 일단 김 수석은 박 대통령의 의중과 국회 업무에 누구보다 밝은 만큼 곧바로 업무 수행이 가능하다. ‘친박 전략가’라는 별명답게 판세를 읽고 지략을 짜내는 능력이 탁월하다는 평이다. 따라서 경제브레인의 양대 축인 안종범 정조수석과 강석훈 경제수석이 국정과제를 뚝심 있게 밀어붙이면, 김 수석이 특유의 대(對) 국회 협상력을 바탕으로 이를 입법화하는 역할을 전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김 수석의 임명이 총선 패배 이후 ‘책임론’이 불거지면서 한동안 자세를 낮췄던 친박계가 다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시점에 이뤄졌다는 점을 주목한다. 박 대통령이 당내 화합보다는 야권과의 ‘협치’(協治)에 더 무게를 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친박계가 당 대표 등에 있어 비박계에 밀리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만큼 김 수석이 향후 어떤 스탠스를 취할지가 최대 관전 포인트”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참모진 개편과 함께 3개 부처의 차관도 교체하면서 향후 개각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원년멤버인 윤병세(외교부)·윤성규(환경부)·이동필(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등이 대상으로 주로 거론된다. 시점은 20대 국회 원(院) 구성 직후와 8월초 박 대통령의 여름휴가 직후로 전망이 갈린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인사는 인사권자인 박 대통령 본인만 아는 것으로 예단할 수 없다”고 입을 다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