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기업활력제고를위한특별법’(원샷법) 처리와 별도로 정부 차원에서 추진되는 구조조정 대책이다. 주형환 장관은 “새로운 트렌드에 맞추지 못해 경쟁력이 떨어지는 주력산업을 고도화해야 수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며 이 같은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산업부는 과잉업종을 적시해 분석보고서를 발표하는 일본 사례를 참조해 보고서를 내놓을 방침이다. 현재로선 보고서에 직접적으로 기업명을 명시하지는 않고 사업재편이 필요한 품목을 구체적으로 명시할 방침이다. 정부는 강제적인 사업재편 방식에 선을 긋고 있지만, 사업별로 ‘공급과잉’ 기준 판정을 받으면 구조조정 압박에 몰릴 전망이다. 업계로서도 긴장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산업부 철강화학과 관계자는 “기업 단위까지 보려면 재무적 여건을 봐야 하기 때문에 보고서에서는 사업재편이 필요한 주요 품목을 다룰 예정”이라면서도 “보고서가 나오면 기업별로 주시해서 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우조선해양(042660), 현대중공업(009540), 삼성중공업(010140) 등 적자가 심각한 조선3사를 비롯해 포스코(005490), 현대제철(004020), LG화학(051910), SK(034730)종합화학, 한화케미칼(009830) 등 조선·철강·석유화학 주요 업계에 파장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이외에도 산업부는 R&D, 금융, 세제, 인력, 판로 등 전방위 지원에 나서고 과감하게 규제를 풀 방침이다. 신사업·주력산업에 작년보다 3000억원 증액한 2조8000억원의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한다. 신산업 투자와 관련해 7조5000억원의 금융 지원도 이뤄진다.
산업부는 ‘신산업 투자지원단’을 설치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실시간으로 듣고 해결할 방침이다. 주형환 장관은 “앞으로는 정부 주도가 아니라 민간주도로 산업 정책을 바꾸고 민간의 애로사항을 집중적으로 해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