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최근 고유가와 고환율 우려가 커지지면서 국내 페인트 업계도 긴장하고 있다. 석유화학 제품에서 파생되는 원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익성 악화가 우려돼서다.
| 자료=investing.com, WTI 5월 선물 기준 (단위=배럴당 달러) |
|
17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거래되는 서부텍사스산원유(WTI) 5월 인도분은 16일 배럴당 85.36달러로 마감해 올해 1월1일 71.97달러보다 13.39달러 올랐다. 올해 유가 상승은 예멘 후티 반군의 홍해 도발과 석유수출기구플러스(OPEC+) 회원국의 감산 연장과 이란, 이스라엘 충돌 등이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란은 걸프 지역 원유 수출의 9.3%를 차지해 향후 이란과 이스라엘 무력 충돌 양상에 따라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페인트는 원재료 대부분이 석유화학 제품에서 파생된다. 페인트는 수지(도막 결정 물질)를 용제(녹이는 용매)로 묽게 하고 안료(색)로 색을 부여해 코팅할 수 있게 만든 물질이다. 여기에 첨가제까지 더하면 페인트 4대 성분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유성제품은 안료를 제외한 3개 원료가 석유화학 기반”이라고 말했다.
노루페인트의 경우 지난해 건축 및 공업용 도료 원재료 비중은 첨가제(30.9%), 수지(26.2%) 안료(14.8%), 용제(8.2%) 순이다. 때문에 국제유가와 환율 변동이 페인트 생산 원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살제 지난해 노루페인트가 17년 만에 최대 영업이익 및 매출을, 삼화페인트가 8년 만에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한 데엔 유가와 환율 안정화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 (자료=한국은행) 서울외환시장 종가 기준 |
|
최근의 고환율 역시 페인트 업계에 부담이다. 페인트 산업은 원재료 수입 비중이 높은 데다 매출대비 원재료 비중이 높다. 삼화페인트는 주요 원재료 중 6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평균 매출대비 원재료 비중도 60% 수준이다. 반면 고환율로 이득을 볼 수 있는 완제품 수출 비중은 10% 안팎으로 크지 않다. 지난해 기준 수출 비중은 노루페인트가 13%, 삼화페인트는 6%, 강남제비스코는 15%다. 노루페인트 기준으로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할 때 달러에 대한 원화값이 10% 하락하면 당기손익이 9억5000만원 줄어든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값은 지난 16일 종가 기준으로 1394.5원으로 마감했다. 1월2일 1300.4원에 비해 94.09원이 높다. 특히 이날 장중에는 1400원을 터치해 2022년 11월 7일 고가 기준으로 1413.5원을 기록한 이후 17개월 만에 처음으로 1400원을 찍었다. 1400원대 원달러 환율은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처럼 국가적 위기 상황이나 2022년처럼 미국이 가파르게 정책금리를 올릴 때나 있던 일이다.
페인트 업계는 사태 장기화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양새다. 강남제비스코 관계자는 “유가 상승 및 환율 인상에 대비해 주요 수입 원재료 가격 변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있다”며 “주요 원재료에 대한 사전 비축 활동을 진행할 계획이고 유가 상승 및 환율 인상이 지속되면 원재료 가격 인상으로 인해 수익성이 압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노루페인트 관계자는 “이란 이스라엘 문제로 원재료 가격 상승과 고유가, 고환율 상황이 발생하고 있지만 코로나 시점부터 원재료 수급 네트워크 다각화 시스템을 안착해 비축분이 있기 때문에 내부 영향은 크게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현 상황이 장기화 될 가능성과 혹시 모를 리스크 발생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