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시흥 출신인 박 대법관은 경기고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1984년 서울지검 검사로 임관해 대검 범죄정보관리과장, 사법연수원 교수, 대검 공판송무부장, 서울북부지검장 등을 역임한 뒤 2009년 퇴임했다. 이후 2012년 사학분쟁조정위원회 위원을 맡았고 작년부터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원장으로도 일했다. 경력으로 보면 대법관으로서 전혀 모자람이 없다.
지난 1월 대법관후보추천위원회가 박 대법관을 추천했을 때부터 끝없이 반대 여론이 나온 이유는 하나다. 바로 박 대법관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담당검사로서 축소은폐에 깊게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4월에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가 ‘박종철 청문회’로 불린 이유도 그 때문이다. 당시 경대수 새누리당 의원은 “다른 청문회를 보면 병역·부동산투기·탈세·위장전입·논문위조 등이 이슈가 되는데 이 청문회는 전혀 이런 이야기가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법조계를 포함한 사회의 반발도 컸다. 일선 판사들은 법원 내부통신망을 통해 “대법관 후보로 부적절하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또 서울지방변호사회는 지난 2월 대법관 임명에 반대하는 공식입장을 발표하기도 했다. 서울대 총학생회는 국회가 직권 상정한 6일 자진사퇴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서울대는 박 대법관에게도 그리고 고 박종철에게도 모두 모교다.
한편 박 대법관에 임명동의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2월17일 신영철 대법관의 퇴임 후 79일간 이어진 공석 사태도 일단 마무리됐다. 박 대법관은 신 전 대법관의 퇴임 후 이상훈·김창석·조희대 3인 체제로 운영 중인 대법원 2부로 들어간다.
대법원 2부에는 ‘강기훈 유서대필 사건’ 재심과 한명숙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의 정치자금 사건, 횡령·배임·탈세 혐의로 기소된 이재현 CJ 회장 사건 등 사회적 이목이 쏠리는 사건이 대기 중이지만 공백이 길어져 처리가 늦어지고 있었다.